“삼겹살은 억울합니다. 식당에서 먹는 삼겹살 1인분엔 인건비와 야채값 등 모든 게 다 들어가 있습니다. 삼겹살 보고 금겹살이라고 하는데 정작 돼지고기 가격은 떨어지고 있습니다.”
사룟값 상승과 경기침체로 인한 소비 위축 분위기 등 지속되는 악재 속에 한돈 농가가 정부 차원의 대책 마련을 촉구하고 나섰다.
대한한돈협회(이하 한돈협회)와 한돈자조금관리위원회(이하 한돈자조금)는 25일 한국프레스센터 서울클럽홀에서 ‘2024 한돈산업 위기대응 기자간담회’를 열고, 한돈 가격안정 및 소비촉진 대책 마련 등을 논의했다.
이날 한돈협회 손세희 회장은 높아진 생산비와 돈가 급락으로 인한 한돈 농가의 고충과 애로사항, 돈가 안정을 위한 노력을 전했다. 그는 “경제성장과 함께 한돈 산업도 많이 발전했다. 하지만 산업에 장밋빛만 비춰지는 건 아니다”라며 “노령화, 시설 노후화, 질병 등으로 생산성이 저하되고 있고, 각종 규제들이 앞을 가로막고 있으며, 고금리‧고물가로 인한 소비 둔화와 이로 인한 재고로 농가들의 어려움이 많다”고 밝혔다.
한돈협회와 한돈자조금에 따르면, 연평균 1kg당 5000원 초반대를 유지하던 돼지고기 가격은 지난해 말부터 하락세를 이어오고 있다. 이달에는 4348원까지 급락한 상황이다. 이에 반해 고금리‧고물가의 영향으로 사룟값과 이자 부담을 커지면서 생산비는 크게 늘었다. 특히 생산성 하위 30% 구간 한돈 농가(MSY 14.1두)의 현금 유동성 위기가 극심하다. 해당 농가들의 지난해 생산비 평균 1kg당 5709원으로, 연간 1억4400만 원씩의 손해를 봤다. 올해 들어 돼지고기 가격이 급락하면서 1월에만 2700~3100만 원씩의 손해가 추가 발생할 것으로 추정된다.
중위권 농가(MSY 17.2두) 역시 지난해 손해를 면치 못했다. 이들의 생산비는 평균 1kg당 5315원으로, 연간 5500만 원의 적자를 냈다. 흑자를 낸 농가는 상위 30%(MSY 21.0두)뿐이다. 이들의 연간 손익은 평균 5300만 원 수준이었다.
이와 별개로 소비자가 체감하는 돼지고기 가격 부담에 대해선 억울한 면이 있다고 호소했다. 손 회장은 “현재 돼지고기 가격이 생산비 이하로 있지만 외식 물가는 떨어지지 않고 있다”며 “식당에선 다른 것까지 삼겹살값으로 인식되는 게 있다. 야채값이나 인건비, 전기세 등 모든 게 올라 책정된 가격인데 외식할 땐 모두 삼겹살값으로 둔갑되는 경향이 있다”고 말했다.
이어 “돼지고기 1인분 중량에 대해서도 표준화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며 “한돈인증점 에 한해서라도 중량 표준화를 위해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한돈협회와 한돈자조금은 한돈 판매 촉진과 수요 활성화를 위해 전방위적으로 자구책을 추진할 방안이다. 우선 대형마트와 정육점(한돈인증점), 농협 하나로마트, 한돈몰 등 주요 채널에서 최대 50% 할인행사를 연중 실시한다는 방침이다.
또한 단체급식 한돈 사용 확대 지원으로 돈가 안정에 기여하고 삼겹살데이, 한돈데이, 명절, 스포츠행사 등을 연계한 소비 촉진 캠페인으로 한돈 소비 활성화에 힘을 보탠다. 신규 광고 슬로건인 ‘국돼팀(국산 돼지고기를 고집하는 팀)’ 론칭하고, 한돈 홍보대사인 백종원 더본코리아 대표와 함께 지역 축제 연계 한돈 소비촉진 행사를 추진하는 등 다양한 마케팅 활동을 이어가겠다는 계획이다.
아울러 내수시장 축소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K-컬처에 따른 K-푸드 수요도 잡기 위해 한돈 수출 시장을 개척‧활성화한다. 정부‧유관기관 및 단체‧양돈조합‧수출업체 등 한돈 수출협의체를 구성해 수출 확대 방안을 지속 논의하고 관련 지원사업을 확대할 방침이다.
한돈 산업 안정을 위한 부담 완화 대책 등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도 요청했다. 손 회장은 “농가 수익 보장 및 수급 안정을 위해선 대대적인 판매 촉진으로 한돈 사용량을 증대시키고, 이와 함께 생산성 향상 및 농가경영 여건 개선을 위한 정부의 제도적인 필요한 때”라고 강조했다.
먼저 사료비 부담 완화를 위해 양돈용 특별사료구매자금 신설 및 기존 특별사료구매자금의 상환 기간 연장, 축사시설현대화 등 정부정책자금 상환기간 1년 연장 및 한시적 무이자 지원을 요구했다.
전기요금 부담 완화를 위한 대책 마련도 요구했다. 한돈협회와 한돈자조금에 따르면, 모돈 300두 농장 기준으로 동절기 전기료는 인상 전 월 350만 원 수준이었다. 하지만 인상 후에는 월 500만 원까지 늘었다. 이에 따라 전기요금을 한시적으로 지원하고, 계절별 차등요금 적용대상에서 농사용 고압을 제외하는 방안을 건의했다.
이밖에도 △백신 피해 완화 대책 △가축분뇨처리비 부담 완화 대책△ 민관 공동 돼지 수매 사업 추진 △돼지고기 원산지 단속 강화 등 대책을 요구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