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신계약건수, 전년보다 66% 늘었지만 가입률 1.4%
보험료 산정 및 손해율 관리 어려워 상품 개발 한계
"진료코드 부재, 진료부 미발급 등 제도적인 부분 개선돼야"
지난해 반려동물보험(펫보험)이 가시적인 성장세를 보였다. 국내 반려견·반려묘 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가운데 윤석열 정부가 펫보험 활성화를 국정과제로 추진하면서 반려동물 시장이 커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다만 현재 펫보험의 가입률은 1%대에 그치는데, 진료코드 표준화 등 관련 제도가 개선돼야 경쟁력 있는 상품 개발에 탄력이 붙을 것으로 예상된다.
13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메리츠·한화·롯데·삼성·현대·KB·DB 등 펫보험을 판매하는 11개 손해보험사의 지난해 말 기준 신계약건수는 5만8456건으로 전년(3만5140건)보다 66% 급증했다.
같은 기간 펫보험 계약건수(보유 기준)는 10만9088건으로 전년(7만1896건) 대비 52% 늘었다. 원수보험료(보험사가 보험 계약자로부터 받은 보험료)는 468억원으로 전년(288억원)보다 63% 늘었다.
펫보험은 2008년 국내에서 처음 출시됐는데 손해율 관리의 어려움으로 상품의 판매 중단을 겪다, 지난해부터 유의미한 성장세를 보이기 시작했다.
정부는 지난해 관계부처 합동으로 ‘반려동물연관산업육성대책’을 발표했다. 이 방안에는 ▲보험·동물병원 간 협력을 통해 보험 판매채널 확대 및 간편청구 등 실시 ▲반려동물 발달단계·특성 등을 감안한 다양한 보험상품 개발 등의 내용이 담겼다.
국내에서 펫보험을 가장 먼저 출시한 메리츠화재에 따르면 국내 반려동물 시장 규모는 지난해 말 5조4000억원에서 2025년 6조5000억원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데, 같은 기간 상품의 성장세는 더딘데 반해 펫보험 같은 서비스가 7000억원 증가하며 이 시장의 성장을 이끌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여전히 전체 반려동물 대비 펫보험 가입률은 1.4%에 그치는 상황이다.
현재 소비자 입장에선 충분한 담보에 적절한 보험료를 갖춘 매력적인 보험 상품이 부족한 상황인데, 보험사들이 보험료 산정 및 손해율 관리의 어려움으로 상품 개발 등 시장 확대에 부담을 느끼고 있어서다.
보험업계는 진료코드 부재 및 진료부 미발급 등의 제도적인 부분이 개선돼야 한다는 입장이다. 현재 반려동물 진료정보(질병명·진료행위명·진료코드)가 표준화되지 않아 국내 통계만으로는 보험상품 개발에 한계가 있는 상황이다. 보험가입자의 요구를 충족할 다양한 상품 출시를 위해 국내·외 통계를 활용해 요율을 세분화해야 하지만, 현재 보험사에서 사용하고 있는 요율은 치료비의 입·통원 구분도 없는 실정이다.
또 현행 수의사법상 수의사는 동물 진료 후 진료부를 발급할 의무가 없으며, 이에 반려동물 보호자의 발급요청을 거부하기도 한다. 이와 관련해 국회에 총 7건의 관련 개정안이 발의됐지만 농림위에 계류 중인 상태다.
보험업계 관계자는 “정부에서 질병명·진료행위명 표준화 작업에 들어간 만큼 담보를 개발하고 위험률 산출을 정교하게 할 수 있는 길이 열렸다”면서도 “다만 표준화 작업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것이고 진료코드 표준화는 아직 시작도 하지 않은 만큼 상품개발로 이어지는 속도는 더딜 것”이라고 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