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BR]핵심 역량으로 본 전략

  • 동아일보
  • 입력 2024년 3월 18일 03시 00분


코멘트

비즈니스 리더를 위한 경영저널 DBR(동아비즈니스리뷰) 2024년 3월 1호(388호)의 주요 기사를 소개합니다.

핵심 역량으로 본 전략

‘핵심 역량’은 게리 하멜 런던비즈니스스쿨 교수와 C K 프라할라드 미시간대 경영대학원 교수가 제시한 개념으로 기업 내부의 구성원이 보유한 기술, 지식, 문화 등 기업의 핵심을 이루는 능력을 뜻한다. 핵심 역량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미래를 내다보는 ‘전략적 의도’를 바탕으로 전략에 대한 청사진, 즉 ‘전략 아키텍처’를 구축해야 한다. 생성형 인공지능(AI)의 발달은 핵심 역량 구축에도 영향을 미친다. 예컨대 제약 산업에서의 핵심 역량 중 하나는 신제품 개발 역량이다. AI를 활용하면 수백 개의 가설을 단숨에 만들 수 있고 개발 비용도 절감할 수 있다. AI로 인해 핵심 역량 구축이 용이해지면서 오늘의 핵심 역량이 내일의 일반 역량으로 바뀌는 속도가 빨라진다는 사실도 명심해야 한다.

AI 시대, 드러커 다시 보기

피터 드러커 클레어몬트대 석좌교수는 현대 경영학의 기반을 마련하며 ‘경영학의 아버지’라고 불린다. 1950년대까지만 해도 경영학에 포함되지 않았던 유통, 생산관리, 회계, 마케팅, 전략, 조직관리 등 다양한 분야의 지식을 ‘경영의 목적’이라는 세계관 아래 통합했다. 그런데 드러커의 경영 철학이 AI로 급변하는 현대 경영 환경에서도 통할까? 생성형 AI가 보급되기 시작하면서 올바른 질문을 던지는 역량이 중요해졌다. 드러커 역시 경영자들에게 사명, 고객, 고객 가치, 성과, 계획에 대한 질문을 강조했다. 이 다섯 가지 질문은 경영자들이 사업을 점검하고 새로운 기회를 발굴하는 지침이 됐다. 드러커의 가르침을 2024년 버전으로 재해석했다.


#핵심 역량#ai#드러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