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분기 2.8조 ‘어닝서프라이즈’
고부가가치 메모리 고르게 선방… “첨단 HBM 제품 공급 확대할 것”
AI 성장 주춤… 폰 수요도 안살아나
업계 “반도체 회복세는 아직” 신중
SK하이닉스가 1분기(1∼3월) 영업이익에서 시장 기대치보다 1조 원을 웃돈 ‘깜짝 실적’(어닝서프라이즈)을 달성하며 반도체 업황 회복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그동안 실적에서 발목을 잡았던 낸드플래시까지 흑자 전환에 성공하며 ‘반도체 봄’이 도래하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다만 최근 인공지능(AI) 산업의 성장세에 대한 보수적 시각이 제기된 데다, 스마트폰과 PC 등 범용제품에 대한 수요가 살아나지 않는 상황이다. 이에 업계가 완연한 회복세에 접어들었다고 보기엔 시기상조라는 신중론이 동시에 나오고 있다.
SK하이닉스는 1분기 매출 12조4296억 원, 영업이익 2조8860억 원을 거뒀다고 25일 발표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144% 늘었고 영업이익은 적자(―3조4023억 원)에서 흑자로 전환했다. 전 분기 대비로는 각각 10%, 734% 늘었다. 특히 영업이익은 증권가 예상치(1조8551억 원)보다 1조309억 원(55.6%)이나 높았다.
이를 통해 SK하이닉스는 지난해 3분기(7∼9월) D램에 이어 올해 1분기 낸드까지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SK하이닉스는 “AI 서버용 제품 판매량을 늘리고 수익성 중심 경영을 지속한 결과”라고 설명했다.
실적 호조의 배경은 AI 수요 증가에 따라 고대역폭메모리(HBM) 및 솔리드스테이트드라이브(SSD) 등 D램과 낸드 부문에서 고부가가치 메모리가 고르게 선방한 것이다. 특히 낸드 부문에 대해 업계와 증권가는 2분기(4∼6월) 흑자 전환을 예상했으나 시기를 앞당겼다. 회사 측은 “AI 서버에 활용되는 기업용 프리미엄 제품(eSSD·엔터프라이즈SSD)의 판매 비중이 특히 확대됐다”고 했다. 1분기 SK하이닉스 낸드 제품 평균 가격은 전 분기 대비 30% 이상 상승했다. D램 평균 가격이 20%대 오른 것보다 더 큰 상승 폭이다. 제품 가격이 오르면서 SK하이닉스가 보유하고 있던 재고 자산의 가치도 뛰어 9000억 원의 이익이 발생했다.
SK하이닉스는 고부가 D램인 HBM 수요 증가에 대응해 5세대인 HBM3E 제품군 확대에 나선다고 밝혔다. 올 3월부터 업계 최초로 HBM3E 8단을 양산한 데 이어 내년 12단 제품을 공급하겠다는 계획이다. SK하이닉스 관계자는 “상당수의 기존 고객, 잠재 고객과 함께 2025년 이후까지 장기 프로젝트를 논의 중”이라고 말했다. 이와 함께 SK하이닉스는 늘어나는 D램 수요에 맞춰 충북 청주 ‘M15X’에 20조 원을 투입해 신규 D램 공장을 건설하기로 했다.
다만 반도체 업계가 메모리에 힘입어 회복세를 탔지만 아직 장밋빛 전망을 내놓기엔 이르다는 진단도 나온다. 세계 최대 파운드리(반도체 위탁 생산) 업체인 대만 TSMC는 최근 당초 약 20%로 잡았던 올해 파운드리 성장률을 최근 10% 중후반대로 조정했다. 웨이저자(魏哲家) TSMC 최고경영자(CEO)는 “거시경제 및 지정학적 불확실성이 소비자 심리와 최종 반도체 수요에 부담을 주고 있다”고 말했다. 불확실성이 기업들의 투자 계획도 지연시키면서 네덜란드 반도체 장비 회사 ASML은 1분기 기대 이하의 성적표를 내기도 했다.
안기현 한국반도체산업협회 전무는 “AI 중심으로 수요가 커지는 것은 맞지만 본격적인 회복기에 진입했다고 보기에는 이른 측면이 있다”며 “미국 기준금리가 인하되고 실물경기가 활성화돼야 ‘슈퍼 사이클’로 이어질 수 있다”라고 분석했다.
AI 성장세가 기대만큼 가파르지 않을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24일(현지 시간) 시간외거래에서 페이스북의 모회사 메타 주가는 15% 이상 급락했다. 메타가 AI에 4조∼5조 원을 더 투자하겠다고 밝히자, 시장에서는 ‘돈 먹는 하마’ AI가 회사의 수익성을 희생할 만큼 지속 가능한지에 대한 의문을 제기한 것이다. 이날 구글 모회사 알파벳, 마이크로소프트(MS) 등 다른 테크주들도 줄줄이 시간외거래에서 하락세를 나타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