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BR]과열된 LNG 시장… 재생에너지에 주목할 때

  • 동아일보
  • 입력 2024년 5월 13일 03시 00분


코멘트

탄소중립 시대, LNG역할 기대감 커져
과도한 투자는 향후 독 될 수도
재생에너지 관심 갖고 투자 늘려야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글로벌 에너지 시장에서 액화천연가스(LNG)의 위상이 치솟고 있다. 러시아가 유럽으로 통하는 기체천연가스(PNG) 파이프라인을 막아버린 탓에 LNG가 그 대안으로 급부상해서다. 그 결과 2022년 LNG 거래량은 사상 처음으로 파이프라인 가스 거래 물량을 넘어섰다. 여기에 최근 아시아 주요국들이 탄소중립 정책을 시행하면서 LNG 수요를 견인하고 있다. LNG는 석탄발전 시대에서 재생에너지 시대로의 전환 과정에 브리지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LNG는 화석연료 중에서도 탄소배출량이 적은 편이기 때문에 급격한 탈탄소 전환이 야기할 산업 생산성 감소나 일자리 문제를 보완해줄 수 있다. 재생에너지는 아직 해결해야 할 과제들이 있어 한계를 해결할 기술 개발이 완료될 때까지 LNG가 중간 다리 역할을 할 수 있을 전망이다.

이런 낙관론은 국내 에너지 기업의 LNG 투자를 촉발했다. 한화에너지는 24조 원(약 175억 달러) 규모의 미국 텍사스 리오그란데 수출 터미널 프로젝트에 참여 중이며 포스코인터내셔널은 2022년 호주 업스트림 업체인 세넥스에너지 인수 후 가스 생산 능력을 3배로 확장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LNG 시장 전망이 마냥 긍정적이지는 않다는 점에서 우려도 제기된다. 국제에너지기구(IEA)는 ‘세계에너지전망보고서 2023’에서 각국의 최신 정책을 반영한 결과 2030년을 기점으로 천연가스 수요가 줄어들 것으로 전망했다. 이 전망이 들어맞는다면 가까운 시일 내 LNG 시장은 공급 과다로 인한 가격 하락을 겪게 될 가능성이 크다. 과잉 공급에 따른 가격 하락이 이미 현실화되고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국제 신용평가사 S&P글로벌은 올 3월 미국 헨리허브 벤치마크의 가스 가격이 MMBtu당 1.24달러 수준으로 떨어졌다고 보도했다. 이는 1990년대 이래 가장 낮은 수준이다. 유가와 가스 가격이 급락했던 2020년 파산 신고를 한 업스트림 기업이 100개를 넘어섰던 것을 반추해볼 때 LNG 시장의 수요공급 불일치는 근시일 내 유사한 투자 불확실성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이에 반해 전 세계 재생에너지 시장의 성장세는 더욱 가팔라질 전망이다. 한국을 포함한 주요 국가들은 지난해 열린 28차 유엔 기후변화 당사국 총회에서 2030년까지 재생에너지 용량을 현재의 3배 수준으로 확대하기로 선언했다. 향후 6년간 전 세계적으로 한국의 현재 재생에너지 용량(32.5GW)의 250배에 달하는 재생에너지(8130GW)가 설치될 전망이다. 해외 주요 국가들의 발걸음도 빨라지고 있다. 미국은 3200만 달러에 불과했던 재생에너지 수출금융을 2023년 무려 23억6000만 달러로 늘렸다. 독일의 재생에너지 수출금융 규모도 31억1000만 달러로 2021년 대비 3배 가까이로 늘었다.

이처럼 전 세계 에너지 투자 동향은 화석연료에서 재생에너지 중심으로 빠르게 전환하고 있다. 선택의 갈림길에 선 국내 에너지 기업들이 불확실성이 높아지는 LNG 업스트림 사업과 과감하게 단절하고 재생에너지·배터리 공급망을 구성하는 신규 사업에 대신 투자한다면 사업 수익은 물론이고 향후 시장 주도권 또한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탄소중립#글로벌 에너지 시장#lng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