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급등한 물가 상승에 따른 금리 인상 대응으로 지난 2021년에서 2021년 사이 소비 증가율이 약 5%포인트 가량 위축됐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특히 대출을 일으켜 전세를 선택한 청년층의 경우 물가 상승에 따른 전세보증금의 실질 가치 하락과 고금리에 따른 이자 비용 부담 등 부정적인 영향이 가장 컸던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한은은 경제전망의 일환으로 ‘고물가와 소비: 가계의 소비바스켓과 금융자산에 따른 이질적인 영향을 중심으로’ 보고서를 발간했다. 집필자는 한은 조사국 거시분석팀 정동재 과장과 이규환 과장, 정선영 차장, 이승주 조사역, 경제모형실 모형전망팀 이영재 과장, 이동재 조사역이다.
보고서는 2021년 이후 최근 누적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총 12.8%(연율 3.8%)로 2010년대 평균(연율 1.4%)보다 두 배 이상 높았다고 분석했다. 이 영향으로 민간소비는 올해 들어 재개되는 조짐에도 여전히 추세적으로는 큰 폭으로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고 진단했다.
가계의 소비 지출 품목은 연령과 소득 수준 별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물가상승률이 높은 품목을 많이 소비하는 고령층 및 저소득 층 가계일수록 실제 체감하는 실효 물가상승률이 더욱 높아 물가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세부적으로 실효 물가상승률은 식료품 등 필수재 비중이 큰 고령층(2020~2023년 중 16%) 및 저소득층(15.5%)에서 여타 가계(청장년층 14.3%, 고소득층 14.2%)보다 높게 컸다. 다만, 이들 취약층은 물가 상승 등을 반영해 지급되는 연금 등의 영향으로 상당폭 완화됐을 것으로 저자들은 풀이했다.
다만 물가 상승에 중앙은행이 금리 인상으로 대응하면서 다수 가계에서 금리 상승이 물가 상승의 영향을 상쇄했다고 저자들은 짚었다. 고령층은 전반적으로 물가 상승의 부정적 영향이 컸지만, 금융자산이 높아 금리 상승에 따른 이득을 봤다는 점에서다.
반대로 주택담보대출 등을 많이 보유한 저연령층 자가 거주자는 물가 상승에 따른 부채 하락의 이득을 봤지만, 금리 상승에 이자 비용이 늘며 부정적인 영향도 작용했다. 다만, 부채와 전세보증금을 동시에 보유한 계층의 경우 물가와 금리 모두에서 손해를 입는 경우가 나타났다.
예컨대 주담대로 자가 주택을 마련한 가계의 경우 물가 상승에 따른 주택 가격 상승과 부채 하락의 이득을 동시에 누렸지만, 대출을 일으켜 전세를 선택한 이들은 물가와 금리 양쪽에서 손해를 입었다는 설명이다. 이들은 특히 30대 젊은 층에서 주로 나타났다.
저자들이 물가 상승의 소비 영향을 모형을 통해 정량적으로 분석한 결과 물가상승은 2021~2022년중 실질구매력 축소 등을 통해 소비증가율을 약 4%포인트 내외를 낮춘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이후 크기가 줄어들고는 있지만 여전히 소비 감소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봤다.
이에 더해 가계별 금융자산·부채의 실질가치 변동에 따른 효과도 2021~2022년 중 소비를 1%포인트 내외 수준으로 추가로 위축시켰다. 물가상승으로 부채부담이 줄어든 가계의 소비개선보다 자산가치가 훼손된 가계의 소비위축이 더욱 컸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저자들은 2021년 이후 빠르게 상승한 물가는 민간소비를 상당폭 둔화시켰다는 결론을 도출했다. 다만, 물가상승의 영향이 특히 높았던 가계에서는 공적이전소득의 중가, 금리상승에 따른 이자소득의 증가 등이 물가의 영향을 다소 완화시켰을 것으로 판단했다.
정동재 한은 조사국 거시분석팀 과장은 “향후 물가 오름세가 둔화됨에 따라 가계소비가 물가로 인해 위축되는 효과도 약화될 것”이라면서도 “고물가는 실질구매력을 약화시키고, 취약층의 경제적 어려움을 가중시키는 만큼 물가 안정 기조를 유지해 가야 한다”고 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