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TX, 교통혁신 넘어 역세권 개발로 ‘메가시티’ 조성할 기회”

  • 동아일보
  • 입력 2024년 5월 29일 03시 00분


본보-채널A ‘제39회 동아모닝포럼’
“로테르담역처럼 역세권 복합개발… 사업 추진과정서 건설사 참여 유도
철도망-인근 지역 개발 동시 구상을
정부가 민간에 개발 방향 제시해야”

동아일보·채널A는 28일 서울 중구 롯데호텔에서 ‘수도권 광역급행철도(GTX)가 여는 건설 산업의 미래’를 주제로 제39회 
모닝포럼을 개최했다. 백원국 국토교통부 2차관은 이날 축사에서 “(민간에서) 규제를 개선해야 할 부분을 건의해주면 
적극적으로 검토할 것”이라고 했다. 신원건 기자 laputa@donga.com
동아일보·채널A는 28일 서울 중구 롯데호텔에서 ‘수도권 광역급행철도(GTX)가 여는 건설 산업의 미래’를 주제로 제39회 모닝포럼을 개최했다. 백원국 국토교통부 2차관은 이날 축사에서 “(민간에서) 규제를 개선해야 할 부분을 건의해주면 적극적으로 검토할 것”이라고 했다. 신원건 기자 laputa@donga.com
“네덜란드 정부는 노후한 로테르담 중앙역을 개선하는 데만 주목한 것이 아니라 철도 역세권이 지역 거점이 되도록 개발한 것이 특징입니다. 한국도 이런 사례를 참고할 필요가 있습니다.”(박경아 한국교통연구원 광역·도시교통연구본부장)

동아일보·채널A는 28일 서울 중구 롯데호텔에서 ‘수도권 광역급행철도(GTX)가 여는 건설 산업의 미래’를 주제로 제39회 모닝포럼을 개최했다. 전문가들은 GTX가 교통난 해소를 넘어 ‘역세권 복합개발’이라는 건설산업의 새로운 기회가 되고 있다고 한목소리를 냈다. 이에 따라 철도망과 역세권 개발을 동시에 구상하고 정부가 복합개발의 유형을 정립해 민간에 개발 방향을 제시해야 한다는 제언이 쏟아졌다.

● 수도권 출퇴근 30분 시대 연 GTX

‘지속가능한 GTX를 위한 과제, 변화하는 도시계획’을 주제로 열린 토론에서 김현수 단국대 도시계획부동산학부 교수, 김정훈 
대우건설 토목사업본부 상무, 김창영 국가철도공단 GTX지원단장, 박경아 한국교통연구원 광역·도시교통연구본부장이 참석자의 질문을 
듣고 있다. 신원건 기자 laputa@donga.com
‘지속가능한 GTX를 위한 과제, 변화하는 도시계획’을 주제로 열린 토론에서 김현수 단국대 도시계획부동산학부 교수, 김정훈 대우건설 토목사업본부 상무, 김창영 국가철도공단 GTX지원단장, 박경아 한국교통연구원 광역·도시교통연구본부장이 참석자의 질문을 듣고 있다. 신원건 기자 laputa@donga.com
이날 참석자들은 GTX 건설과 역세권 복합개발은 건설사의 적극적인 참여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백원국 국토교통부 2차관은 축사를 통해 “GTX 사업이 재정사업으로 진행돼도 건설사가 시공에 참여해야 하는 등 국가 철도망 사업은 정부 혼자서 할 수 없다”라며 “사업 추진 과정에서 규제를 개선해야 할 부분을 건의해주면 적극적으로 검토할 것”이라고 했다.

‘GTX 개막과 추진계획’으로 주제발표에 나선 서정관 국토부 수도권광역급행철도과장은 “서울 도심으로 출퇴근하는 수도권 직장인은 오전 5시 반에 집을 나서 오후 9시는 돼야 집에 돌아오는 것이 현실”이라며 “서울 도심 출퇴근 직장인에게 ‘가족과 보내는 저녁 시간’을 주자는 것이 GTX 사업을 시작한 계기”라고 했다. 그는 이어 “앞으로의 GTX는 수도권 외 지역으로의 확장, 2층 열차와 고속 엘리베이터 등 편의성 향상, 역세권 개발 활성화 등의 방향으로 추진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서 “A노선 하루 평균 이용객이 약 8000명으로 예상보다 적다는 지적이 많지만 삼성역 개통 전까지는 평가가 이르다고 본다”며 “2026년 삼성역 무정차 개통을 시작으로 2028년 삼성역을 포함한 완전 개통을 위해 서울시와 협의 중”이라고 했다.

● GTX 역세권 개발, ‘혁신’ 기반

‘GTX가 이끄는 미래도시전략―초역세권 복합개발과 메가시티’를 주제로 발표에 나선 박경아 본부장은 네덜란드 등 해외 사례와 국내 역세권 개발 계획 등을 소개했다. 박 본부장에 따르면 네덜란드 로테르담시 중앙역은 대표적인 복합개발 사례로 꼽힌다. 노후된 역뿐만 아니라 주변 지역을 함께 재정비해 보행광장과 그를 둘러싼 업무·상업시설을 조성하고 승용차, 자전거 등도 편리하게 환승할 수 있도록 개발했다. 박 본부장은 “앞으로는 주변 지역과 환승센터를 통합해 점이 아닌 면 단위로 개발해야 한다”며 “정부가 지역 특성을 감안한 복합개발의 유형을 정립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최근의 역세권 개발 논의가 주상복합 등 주거시설에 집중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본다”며 “싱가포르의 경우 역과 환승센터를 우선 개통한 뒤 주변이 개발되며 지가가 오르면 그때 땅을 매각해 시세차익으로 업무시설 등으로 복합개발을 하는 등 장기적으로 공공성을 살린 개발을 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김현수 단국대 도시계획부동산학부 교수를 좌장으로 열린 토론에서는 참석자들이 초역세권 개발 과정에서 민간 참여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김창영 국가철도공단 GTX지원단장은 “초역세권 500m 반경 이내에선 민간이 토지의 3분의 1 이상을 수용해야 개발이 가능하다”라며 “공공이 같이 참여하는 (민간의 부담을 줄여주는) 사업 모델이 필요하다”라고 했다. 김 교수도 “역세권 복합개발을 위해선 민자 유치가 가능하고 민간이 주도할 수 있는 제도가 필요하다”라고 했다. GTX 이용 수요를 높이기 위한 대안도 나왔다. 김정훈 대우건설 토목사업본부 상무는 “GTX A노선 완전 개통 전까지 임시로 요금 할인을 검토해봐도 좋을 것”이라고 했다.

#gtx#역세권 복합개발#메가시티#교통혁신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