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기술 발달에도 공감능력 대체 못해”

  • 동아일보
  • 입력 2024년 6월 11일 03시 00분


한은 “사회적 능력 클수록 高임금
어릴때부터 소통-협업능력 키워야”


인공지능(AI) 등 자동화 기술로 다양한 업무가 대체되고 있는 가운데 협동과 설득, 공감력 등 이른바 ‘사회적 능력’을 갖춘 인력이 앞으로 노동시장에서 더 유리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은행이 10일 발표한 ‘노동시장에서 사회적 능력의 중요성 증가’ 보고서에 따르면 2008∼2022년 사회적 기술이 집중적으로 필요한 일자리의 비중은 49%에서 56%로 7%포인트 늘었다. 사회적 기술은 협동·협상·설득력과 타인의 감정과 반응을 이해하는 사회적 인지력 등 다른 사람과 원활하게 일할 수 있는 능력을 뜻한다. 반면 수학적(인지적) 기술 집중 일자리 비중은 50%에서 55%로 올라 증가 폭(5%포인트)이 사회적 기술보다 작았다.

또 2007년부터 2020년까지 청년 약 1만 명의 능력과 임금 사이의 상관관계를 추적 조사한 결과 사회적 능력에 대한 보상이 늘어나는 흐름이 발견됐다. 2007∼2015년 사회적 능력이 1단위(1표준편차) 높은 인력의 임금은 평균보다 4.4% 많았지만, 2016년부터 2020년 사이에는 평균을 5.9% 웃돌았다. 최근 들어 1.5%포인트 증가한 것이다. 같은 기간 인지적 능력이 1단위 높은 인력은 평균 대비 초과 임금 수준이 10.9%에서 9.3%로 오히려 낮아졌다.

오삼일 한은 고용분석팀장은 “사회적 능력은 상대적으로 AI 등 자동화 기술이 대체하기 어렵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노동시장에서 더 중요성이 커진 것”이라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교육 현장에서 어린 시절부터 인지적 능력뿐 아니라 다른 사람과 소통·협업할 수 있는 사회적 능력을 기를 기회를 줘야 한다”고 조언했다.

#ai 기술 발달#공감능력#사회적 능력#고임금#소통#협업능력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