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출생·고령화로 지방의 빈집이 계속 늘고 있지만 서울로의 쏠림 현상은 심화하고 있다. 향후 인구 구조 변화에 따른 서울과 지방의 양극화 현상이 더욱 두드러질 전망이다.
13일 한국부동산원의 월별 매입자 거주지별 아파트 매매 현황을 보면 올해 4월 서울 아파트 매입자 4840명 중 1061명은 서울 외 거주자였다. 지난해 6월 1180명을 기록한 이후 10개월 만에 가장 큰 규모다.
올해 1~4월 서울 아파트 매매 총 1만 3443건 중 3031건(22.5%)이 외지인 거래였다.
반면 지방에서는 미분양이 가파르게 늘고 있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4월 전국의 미분양 주택은 7만 1997가구로 집계됐다. 지난해 12월 이후 5개월 연속 오름세를 이어가며 전월보다 10.8% 증가했다.
특히 ‘악성 미분양’으로 분류되는 준공 후 미분양은 1만 2968가구로 전월(1만 2194가구) 대비 6.3%(774가구) 늘었다.
지방에서는 새 아파트의 ‘불 꺼진 집’도 두드러진다. 주택산업연구원에 따르면 5월 광주·전라권 새 아파트 입주율은 56.3%로 3개월 연속 하락세를 보이면서 2017년 6월 조사 시작 이래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
강원도 아파트 입주율도 58.3%로 전월 53.7%에 이어 전국 최하위권을 기록했다. 지역 내 신축 아파트 가격이 기존 아파트보다 비싼 데다 고금리로 대출 상황이 어려워진 여파로 분석된다. 기존 주택 매각 지연과 세입자 미확보 등도 미입주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대전·충청권(61%), 대구·부산·경상권(62.8%), 제주권(66.6%)도 서울(84.3%), 수도권(76.5%)의 입주율을 크게 밑돌았다.
초저출생·고령화 국면이 이어지며 앞으로 서울·수도권의 쏠림 현상과 지방의 빈집 문제가 더 심화할 전망이다.
한 업계 관계자는 “이미 지방에서는 인구 감소에 따른 ‘빈집’ 문제가 시작했다고 봐야 한다”며 “정부가 재개발·재건축 규제를 대폭 완화했음에도 지방에서는 거주인구가 계속 줄고 사업성도 낮아 원만히 진행되기 어렵고, 앞으로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으로 쏠림 현상이 심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최근 한반도미래인구연구원이 주최로 연 ‘인구구조 변화가 가져올 새로운 부동산 시장, 위기인가 기회인가’ 세미나에서도 인구 구조 변화에 따른 지방의 ‘빈집’ 문제가 대두될 것이라는 전문가 의견이 제시됐다.
이용만 한성대 부동산학과 교수는 주제 발표에서 “인구 구조 변화로 국내 총가구 수가 하락하는 2040년 전후로 실질 주택값이 하락할 것”이라며 “2040년엔 239만 가구(전체 주택의 9.1%)가, 2050년엔 324만 가구(13%)가 주인 없는 집이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 교수는 “지역별로 총 주택 수요량의 정점 시기가 달라 수도권은 하락 시기가 다소 늦어질 것으로 보이는 데 반해 지방은 하락 추세가 더 일찍 나타날 가능성이 크다”고 진단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