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판 유니클로’ 쉬인, 韓 진출 공식 선언… 국내 업계 긴장

  • 동아일보
  • 입력 2024년 6월 20일 16시 50분


코멘트
쉬인 제공
알리익스프레스와 테무 등 중국 이커머스 기업들이 한국 시장에서 공격적으로 영역을 넓히고 있는 가운데 ‘중국의 유니클로’로 불리는 쉬인이 한국 시장 진출을 공식 선언했다. 유통업계에서는 스파오·탑텐 등 국내 제조·유통 일원화(SPA) 브랜드와 무신사·에이블리·지그재그·W컨셉 등 패션 플랫폼, 쿠팡·11번가·네이버 등 이커머스 사업을 하는 곳 등이 광범위하게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고 있다.

20일 중국의 패션·라이프스타일 온라인 리테일 기업 쉬인은 “4월 한국 전용 홈페이지를 열고 본격적으로 한국 시장에 진출했다”며 “앞으로 마케팅에 박차를 가하겠다”고 밝혔다. 쉬인은 2022년 12월 한국 법인을 설립하고 지난해 8월부터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통해 회사를 알렸다. 한국 진출을 공식 선언한 건 이번이 처음이다.

쉬인은 5달러짜리 치마와 9달러짜리 청바지 등 저렴한 제품으로 미국과 유럽에서 큰 인기를 끌고 있다. 현재 150여개 국에서 패션 제품을 팔고 있다. 지난해 순이익은 약 20억 달러(2조 7000억 원)였다. 보니 리우 쉬인 코리아 마케팅 담당자는 “한국은 패션 스타일, 엔터테인먼트, 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세계를 선도하고 있다”며 “가성비 높은 고품질 제품을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 이커머스 플랫폼은 쉬인의 본격적인 한국 진출에 긴장하는 분위기다. 한 이커머스 회사 관계자는 “쉬인이 초저가 의류 제품을 판매하면 한국의 보세 의류 상인들의 피해가 예상되고, 동대문 보세 의류 사입을 기반으로 하는 패션 플랫폼들도 위축될 것”이라며 “다만 쉬인에서 파는 제품의 질에 부정적 의견도 많다는 점에서 실제 영향은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

쉬인도 다른 중국 이커머스 기업과 마찬가지로 유해성 논란이 있었다. 서울시는 얼마 전 쉬인에서 판매하는 어린이용 가방 등 가죽제품 8개의 안전성을 검사한 결과 7개 제품에서 유해 화학물질이 나왔다고 밝혔다.



이민아 기자 omg@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