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때 月500만원 벌던 인플루언서 “부자는커녕 간신히 생활” 눈물

  • 동아닷컴
  • 입력 2024년 6월 20일 17시 22분


코멘트
코로나19 팬데믹 동안 폭발적으로 증가했던 SNS 마케팅과 크리에이터 시장이 정점을 찍고 하향 추세를 보이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18일(현지시간) ‘부자는커녕 간신히 생활하는 인플루언서들’이라는 제목의 기사를 통해 “SNS 콘텐츠로 돈을 벌던 인플루언서들의 생활이 점점 나빠지고 있다”고 전했다.

WSJ은 “플랫폼 회사는 조회 수에 비례해 지불하던 보상을 줄이고, 기업들도 SNS 마케팅 비용을 점차 까다롭게 지급하고 있다”며 골드만삭스 보고서를 인용해 “지난해까지 SNS 플랫폼을 활용해 돈을 버는 사람은 전 세계 5000만 명 정도”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앞으로 5년간 SNS 크리에이터 수는 연평균 10~20%씩 증가하고 그만큼 경쟁도 더욱 치열해질 것”이라고 예측했다.

최근 5년간 틱톡·유튜브·인스타그램·스냅챗 등 SNS 플랫폼들은 많은 팔로워와 조회 수를 기록한 크리에이터에 광고 수익을 나눠주는 구조였다. WSJ 보도에 따르면 틱톡은 2020년부터 2023년까지 10억 달러(한화 약 1조 3800억 원) 규모의 펀드를 만들어 크리에이터에게 분배했다.

유튜브는 짧은 동영상이 인기를 끌자, 30초~1분 길이의 동영상 ‘숏츠(Shorts)’ 서비스를 출시하고 조회 수에 따라 한 달 평균 100~1만 달러(한화 약 13만 8000원~1380만원)의 보상금을 크리에이터에게 지급했다.

WSJ는 “하지만 SNS를 활용하는 모든 크리에이터가 큰돈을 만지는 건 아니다”라고 지적했다. SNS 마케팅 대행사 ‘네오리치’에 따르면 지난해 10만 달러(한화 약 1억 3800만원) 이상의 수입을 올린 SNS 크리에이터는 전체의 13%에 불과했으며, 크리에이터 중 48%의 연평균 수입은 1만 5000달러(2071만원) 이하였다.

팬데믹 이후 기업들이 SNS에 쏟아 붓던 예산을 줄인 것도 크리에이터들의 수입 감소로 이어졌다. WSJ는 플랫폼 업체들이 광고 수익 정산 기준을 바꾸는 방식으로 비용을 줄였다고 분석했다.

WSJ에 따르면 인스타그램은 ‘1만 명 이상의 팔로워를 보유한 계정이 1개의 콘텐츠에서 10만회 이상 조회 수를 기록했을 때’ 보상한다는 기준을 내놨고, 유튜브도 지난해부터 ‘구독자 1000명 이상·90일간 쇼츠 1건당 조회수 1000만 이상’이라는 기준을 충족할 경우에만 광고 수익의 45%를 지급한다.

낱말 맞추기 게임을 틱톡에 올려 유명해진 크리에이터 ‘유발 벤-하윤’은 지난해 초까지만 해도 월 4000달러(약 553만원)의 수입을 올리다가 틱톡이 기금을 없애면서 수입이 급감했다고 밝혔다. 플랫폼의 보상 방식 변경이 원인이다. 그는 WSJ를 통해 “최근에는 1000만 조회 수를 달성한 콘텐츠의 수입이 120달러(16만원)까지 쪼그라들었다”고 전했다.

WSJ은 “SNS 크리에이터는 자영업자여서 유급 휴가, 의료보험, 퇴직연금 등 회사 근로자들이 받는 각종 복지 혜택이 없다. 수입이 급감하는 가운데 고물가, 고금리 상황이 이어진다면 생계가 어려워질 수도 있다”며 우려를 표했다.

송치훈 동아닷컴 기자 sch53@donga.com
#sns#틱톡#유튜브#인스타그램#인플루언서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