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미콘 운송노조 “운송단가 협상 불응시 내달 1일부터 총파업”

  • 동아일보
  • 입력 2024년 6월 27일 20시 08분


코멘트
한국노동조합총연맹(한국노총) 산하 전국 레미콘운송노동조합(레미콘 운송노조)이 수도권 레미콘 제조사를 상대로 운송단가 협상을 요구하며 다음 달 1일부터 무기한 총파업을 예고했다. 레미콘 운송노조와 레미콘 제조사 측이 협상 테이블에조차 앉지 못하고 있어 수도권 건설 현장마다 셧다운 우려가 커진다.

레미콘 운송노조 수도권 레미콘 믹서트럭 운송 기사들이 모인 수도권 남·북부본부는 27일 수도권 조합원(7964명)을 상대로 휴업 실시 여부에 대해 투표를 벌인 결과 83%(6613명)가 휴업에 찬성했다고 밝혔다. 레미콘 운송노조 관계자는 “4월부터 협상을 요구했지만 (레미콘 제조사 측에서)한 번도 응하지 않았다”며 “6월 말 계약이 완료되기까지 남은 3일 동안 협상에 응하지 않을 시 다음 달 1일부터 휴업에 들어갈 수밖에 없다”고 했다. 레미콘 운송노조는 기존 협상과 같이 수도권에 있는 레미콘 제조사를 하나로 통합해 한 번에 운반비 단가 계약을 맺자고 요구한다.

레미콘 제조사 측은 각각 지난달과 이달 레미콘 운송노조를 노동조합법상 ‘노조’로 인정할 수 없다는 고용노동부 산하 경기지방노동위원회와 중앙노동위원회 결정을 근거로 단체 협상에 응하지 않고 있다. 레미콘업체 관계자는 “노조로 인정할 수 없다는 노동위원회 판단이 연달아 나오면서 제조사들 사이에서 더는 (노조에) 끌려다닐 수 없다는 생각이 크다”고 했다. 이어 “레미콘 제조사들은 수도권을 통합해 단체 협상을 벌이는 대신, 12개 권역으로 나눠서 협상하자고 했지만 노조 측에서 이에 응하지 않고 있다”고 했다.

레미콘 제조사 측과 레미콘 운송노조가 팽팽히 맞서면서 건설 현장 셧다운 우려도 커진다. 레미콘 운송이 막히면 골조 공사를 진행 중인 현장은 그대로 멈출 수밖에 없다. 레미콘 운송노조가 요구한 협상 기한이 3일밖에 남지 않았지만 이날 현재 양측은 협상 계획조차 잡지 못하고 있다.

레미콘 운송노조와 레미콘 제조사들은 수도권에서 1~2년 단위로 운송료 협상을 벌여왔다. 수도권에서 마지막 협상은 2022년이다. 당시 2년 동안 운송료를 5만6000원에서 6만9700원으로 24.5% 인상하기로 합의하면서 파업이 이틀만에 종료됐다. 올해도 각 권역별로 협상을 벌이고 있다. 이달 24일에는 레미콘운송노조 광주·전남 지역본부가 총파업에 돌입할 예정이었으나, 회당 6만3000원에서 6만9000원으로 인상하는데 합의하면서 파업을 철회했다.


최동수 기자 firefly@donga.com
#한국노동조합총연맹#한국노총#레미콘운송노동조합#레미콘 운송노조#휴업#건설현장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