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바이오팜, 3개 분기 연속 흑자… 영업이익률 20% 육박 “수익성 개선 흐름 주목”

  • 동아경제
  • 입력 2024년 8월 8일 17시 46분


세노바메이트 美 판매 확대로 실적↑… 연간 흑자 청신호
美 매출 1000억 돌파… 영업이익률 10%→19%
“시간 지날수록 수익성 개선… 이익 성장 본 궤도”
연내 후속제품 도입 추진… 신규 모달리티 사업 구체화

SK바이오팜이 올해 2분기 뇌전증 치료 신약 ‘세노바메이트(엑스코프리)’ 판매 호조에 힘입어 3개 분기 연속 흑자를 이어갔다. 특히 시간이 지날수록 수익성이 크게 개선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SK바이오팜은 2분기 매출 1340억 원, 영업이익 260억 원의 경영실적을 기록했다고 8일 밝혔다. 작년 2분기와 비교해 매출은 74.0% 성장했고 영업이익은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실적 규모가 크지는 않지만 차츰 개선되고 있는 수익성을 주목할 만하다.

SK바이오팜의 경우 작년 4분기(매출 1268억 원, 영업이익 148억 원) 흑자 전환에 성공한 이후 이번 2분기까지 3개 분기 연속 영업이익 흑자를 이어왔다. 지난해 4분기 영업이익률은 11.7%를 기록했다. 이후 올해 1분기(매출 1140억 원, 영업이익 103억 원)에는 실적이 다소 하락하면서 영업이익률이 9.0% 수준으로 쪼그라들었지만 2분기에는 영업이익률이 두 자리 수 성장하면서 19.4%로 뛰었다. 매출과 영업이익 모두 시장 전망치(컨센서스)를 상회하는 실적을 기록하면서 수익성까지 확보하고 있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국내 수출 위주 바이오기업은 분기 영업이익률이 20~30%에 달한다. 바이오 분야가 고수익·고부가가치 사업으로 각광받는 이유다. 규모 측면에서 SK바이오팜은 이제 성장을 시작하는 수준이지만 이번 실적은 SK바이오팜이 고수익 중심 바이오기업으로 거듭나기 위한 본궤도에 올랐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상업화한 주요 제품이 세노바메이트 1종에 불과한 것이 다소 아쉽지만 글로벌 최대 시장인 미국 시장 진출을 통해 제품 경쟁력과 성장성을 실적으로 입증하고 있는 셈이다. 단일 제품을 앞세워 미국 시장 공략에 역량을 집중한 효과가 실적으로 가시화되고 있는 것이다. 향후 실적에 대한 기대감을 불러일으킨다.

실적 호조 주요 요인으로는 세노바메이트의 미국 시장 안착을 꼽을 수 있다. 이번 분기에 세노바메이트 미국 시장 매출은 1052억 원으로 집계됐다. 처음으로 미국 매출 1000억 원을 돌파한 실적이다. 세계 최대 시장을 중심으로 내수 판매보다 수출 비중이 커지면서 자연스럽게 수익성이 개선됐고 수출기업에게 유리한 고환율 수혜도 수익 향상에 기여했다는 분석이다.

SK바이오팜 관계자는 “올해 2분기 시장 전망치를 웃도는 실적을 기록하면서 처음으로 3개 분기 연속 영업이익 흑자를 이어갔다”며 “하반기에는 미국 시장 성장을 기반으로 상승세를 이어가고 연간 실적이 흑자를 달성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한 SK바이오팜은 미국 내 세노바메이트 매출 1052억 원은 직접판매(직판)를 통해 거둔 실적으로 현지에서 발생한 판관비(판매비와 관리비) 총액을 처음으로 넘어선 규모라고 전했다. 판관비는 미국 현지 세일즈 네트워크 구축 및 유지에 투입되는 비용과 연구·개발(R&D) 투자, 간접비 등 대규모 비용을 포함한다. 현지 매출 실적이 판관비보다 많다는 것은 대규모 고정비 허들을 넘어섰다는 것을 의미하고 그만큼 수익성이 개선됐다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기타매출은 파트너링 관련 수익으로 총 237억 원을 수령해 전체 매출 성장에 기여했다고 한다. 여기에는 제품 관련 로열티나 임상진행 관련 매출, 기술수출 계약금 등이 포함된다. 반제품 판매 매출은 51억 원으로 집계됐다.

세노바메이트는 미국 내 처방 시장에서도 강세를 보였다. 제품 출시 50개월 차인 지난 6월 세노바메이트 현지 처방 규모는 총 2만8000건 수준이라고 한다. 경쟁 신약 출시 50개월 차 처방 실적의 2배에 해당하는 수치다.
SK바이오팜 세노바메이트(엑스코프리)
SK바이오팜 세노바메이트(엑스코프리)
SK바이오팜은 일반신경의나 전문간호사 등을 중심으로 처방 확대를 추진하고 세일즈 인센티브 구조를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해 성장 속도를 끌어올린다는 계획이다. 특히 하반기에는 경쟁사 영업 강화에 대응해 뇌전증 센터와 키오피니언리더(KOL, Key Opinion Leader) 의사들을 전담하는 기술 영업 인력 충원도 계획하고 있다고 한다. 세노바메이트 제품 경쟁력 강화도 꾀하고 있다. 전신 발작 치료 등으로 적응증을 확장하고 소아와 청소년까지 처방 대상 확대를 진행하고 있다.

세노바메이트를 잇는 후속제품의 경우 미국 내 구축한 마케팅 인프라를 활용할 수 있는 신규 상업화 제품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연내 ‘제2의 상업화 제품’ 도입을 1차 목표로 설정했고 늦어도 내년 중에는 새로운 상업화 제품 도입을 완료한다는 계획이다.

SK바이오팜 관계자는 “앞서 구축한 마케팅 인프라를 활용할 수 있는 새로운 상업화 제품을 외부에서 도입해 성장세를 이어가고 이를 통해 확보한 수익을 신규 모달리티(modality, 치료 접근법) 기술 플랫폼과 항암 분야로 영역을 확장해 ‘빅 바이오텍’을 향한 약진을 본격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SK바이오팜은 지난해 3대 신규 모달리티로 방사성의약품 치료제(RPT)와 표적단백질분해 치료제(TPD), 세포유전자 치료제(CGT) 등을 선정하고 SK그룹과 시너지를 바탕으로 각 분야에 대한 연구·개발(R&D)에 속도를 내고 있다. 먼저 TPD 영역에서는 작년 ‘SK라이프사이언스랩스’를 성공적으로 인수했다. 분자접착체(MG, Molecular glue) 발굴 플랫폼인 ‘모패드(MOPED)’를 활용해 기존에 치료제가 없던 표적에 작용할 수 있는 분해제를 발굴 및 개발 중이다. RPT 분야에서는 최근 홍콩 바이오기업 풀라이프테크놀로지로부터 방사성의약품 후보물질 ‘FL-091’을 인수했다. SK바이오팜이 처음으로 외부 파이프라인을 도입한 것이다. 해당 후보물질 관련 타깃과 경쟁력, 임상 계획 등 세부 내용은 올해 3분기 중 발표할 예정이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