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 많을수록 늙어 걱정 없다고?…“사라질까봐 불안해요”

  • 뉴스1
  • 입력 2024년 8월 15일 16시 00분


코멘트
ⓒ News1 김민지 기자
ⓒ News1 김민지 기자
우리나라 노인들이 재산 수준에 따라 각기 다른 사회적 불안을 느끼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재산이 적은 노년 집단은 격차·경쟁과 관련한 불안을 많이 느끼는 반면, 재산 수준이 높은 이들은 재산 상실을 우려해 안전에 관한 불안을 더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5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보사연)의 ‘보건복지포럼 7월호’에 실린 ‘노인의 경제적 자원과 사회적 불안 인식’에 따르면, 노인이 되면 많은 사람들이 직업 생활에서 은퇴하고 이에 따라 정기적 소득이 감소하거나 중단된다.

또 이런 상황에서 예측 불가능한 의료 비용이 증가하는 등 재정적 필요는 커지므로 소득이 불안정한 상황에서 재산이 노년기에 특히 중요한 자원이 될 수 있다.

보고서는 2021년 만 65~74세 노인 10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자료를 활용해 소득과 재산 등 경제적 자원과 사회적 불안의 관계를 분석했다.

그 결과 소득과 재산이 낮은 분위일수록 높은 사회적 불안을 느끼는 경향이 나타났고, 소득·재산이 높아질수록 불안이 감소했다. 그러나 소득·재산이 일정 수준 이상 높아지면 불안이 다시 증가하는 현상이 관찰됐다.

노인들은 특히 재산 수준에 따라 각기 다른 내용의 사회적 불안을 더 크게 느끼고 있었다.

보고서는 연구 집단을 재산 수준에 따라 ‘고’(4~5분위), ‘중’(3분위), ‘저’(1~2분위)로 나누고, 소득은 고(4~5분위), 저(1~3분위)로 나눠 비교 분석했다.

재산과 소득 수준이 높은 집단은 노인 전체 평균에 비해 격차·경쟁(5점 만점에 3.49점), 불공정(3.37점), 적응·도태(3.1점) 관련 불안은 상대적으로 낮게 느꼈다. 반면 개인 안전에 대한 불안도를 나타내는 안전 불안 영역은 (3.05점)으로 높았다.

보사연 제공
보사연 제공
소득은 낮지만 재산이 높은 집단의 경우에도 비슷한 양상이 나타났는데, 안전 불안(3.03점)을 평균보다 많이 느끼고 있었다.

보고서를 집필한 이아영 보사연 연구위원은 “높은 재산을 보유한 노인들이 안전과 관련한 불안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며 “이는 재산 상실에 대한 두려움이 사회적 불안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재산과 소득이 모두 낮아 경제적 불안정성이 가장 큰 집단에선 이들과 다른 양상이 나타났다. 이들은 격차·경쟁(3.64점), 불공정·불확실(3.51점), 적응·도태(3.22점) 관련 불안 수준이 평균보다 높았다.

재산은 낮으나, 소득은 상대적으로 높은 집단의 경우에도 격차·경쟁(3.79점), 불공정·불확실(3.62점) 불안이 높았다. 이들은 정부 불신(3.49점) 불안 영역 점수도 평균보다 컸다.

이 연구위원은 “재산이 낮은 집단은 재산 축적이 쉽지 않아 불안정한 경제적 상황에 놓일 가능성이 높다”며 “경제적 불안정성으로 인해 사회적 격차와 불확실성에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소득·재산 결합 유형별 사회적 불안 인식(보사연 제공)
소득·재산 결합 유형별 사회적 불안 인식(보사연 제공)
이 연구위원은 “조세 정책과 소득지원 정책 등을 통해 자산 격차와 불평등을 줄이는 적극적 정책을 추진할 필요가 있지만 노인의 경우 재산에 영향을 주는 정책에 민감할 것이라는 점을 유념할 필요가 있다”며 “격차 대응과 관련해 재산에 영향을 주는 정책을 추진할 때 이러한 사회적 불안을 줄일 수 있는 정책을 병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공적연금의 안정성과 예측 가능성을 높여 장기적인 경제적 안정을 제공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 동시에 빈곤층 지원 과정에서 누락된 지원을 면밀하게 살피며, 이들에 대한 지원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또 “축적한 자산의 보호 및 관리를 위해 노인들에게 디지털 금융서비스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해 재산 관리 및 금융 거래를 안전하고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측면도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이 연구위원은 끝으로 “노인의 사회적 불안은 경제적 자원, 즉 경제적 안정성과 직결된다”며 “노인일자리 등 노인의 사회적 참여 및 고용 촉진을 통해 이들의 경제적 자립을 돕고, 사회적으로 활동적인 생활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은 이들의 사회적 불안감을 줄이고 자아실현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세종=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