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경제가 만난 사람] 권재한 농촌진흥청장
“아무리 좋은 기계라도 비싸면 안써… 논농사 비해 밭농사 기계화율 저조
기계화 저해하는 유통 관행 타파… 논밭 날씨정보 서비스 전국 늘릴것”
“농업 분야에 정보통신기술(ICT) 등 첨단 기술을 접목하는 ‘스마트 농업’은 선택이 아니라 필수가 됐습니다. 올해 초에 100% 기계화한 마늘 농가에 갔는데 기계화 이후에 인건비가 6분의 1 수준으로 줄었다고 하더군요.”
권재한 농촌진흥청장은 6일 서울 여의도 CCMM빌딩에서 가진 동아일보와의 인터뷰에서 “실제로 농민들이 써 봤더니 이득이라는 생각이 드는 기계를 개발해 나갈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아무리 좋은 스마트 기술이 적용돼도 기계값이 비싸면 농가에서 쓰질 않는다”며 “농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경제성 있는 스마트 농업으로 한국의 농업 환경을 개선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권 청장은 농업과 관련된 과학기술의 연구개발·보급 등을 담당하는 농촌진흥청을 올 7월부터 이끌고 있다.
권 청장은 “한국이 기술 강국인데도 외국인과 고령 농민들에게만 의존해 밭농사를 짓고 있는 건 어불성설”이라고 했다. 현재 한국의 논농사는 기계화율이 거의 100%에 육박하지만 밭농사의 경우에는 기계화율이 63.3%(2022년 기준)에 그치고 있다. 그는 “로봇팔 등 전문적인 기술을 보유한 민간 기업과 농업에 특화된 기술 개발을 통해 농업 노동시장의 안정화를 도모해 나갈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도매시장들이 양파를 직접 손으로 각을 잡아 망에 넣는 걸 선호해 왔다”며 “이처럼 기계화를 저해하는 유통, 판매 과정에서의 관행도 없애도록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권 청장은 ‘농업 기상재해 조기경보 서비스’를 내년까지 전국의 모든 농가가 이용할 수 있도록 확대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현재 기상재해 조기경보 서비스는 110개 시군을 대상으로 정보를 제공하고 있는데, 내년까지 대상을 전국 155개 시군으로 늘리겠다는 것이다. 마을 단위(9km²)까지만 정보를 제공하는 기상청 동네 예보와 달리 기상재해 조기경보 서비스는 기상청 정보를 지형에 따라 세분화(900m²)해 농장 단위까지 확인할 수 있다. 농장의 지번만 치면 기상과 기온, 강우량, 습도 등 11가지 기상 정보를 제공한다. 이달부터 누구나 가입 없이 사용할 수 있고 회원 가입을 하면 농장에 어떤 재해가 들이닥칠지 문자메시지로도 알려준다.
권 청장은 세대 단축 육종 기술(스피드 브리딩)을 활용한 품종 개발의 중요성도 강조했다. 그는 “13년이었던 밀 품종 육성 기간을 이미 6년으로 단축했다”며 “앞으로 배추 등 여러 작물에도 해당 기술을 적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