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대 시중은행(KB국민, 신한, 하나, 우리)이 영업이익으로 이자도 내지 못하는 기업에 대출해 준 금액이 지난해 85조 원을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금리 장기화와 경기 불황 등으로 실적이 악화된 이른바 ‘한계기업’에 대한 자본 투입에 신중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유동수 의원실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4대 시중은행의 지난해 이자보상배율 1 미만인 기업에 대한 대출 금액은 85조5000억 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1년 전인 2022년보다 14조7000억 원 늘어난 금액이다. 이자보상배율은 영업이익을 대출이자 등 금융비용으로 나눈 값으로, 이 수치가 1보다 작다는 것은 연간 영업이익으로 이자도 감당할 수 없는 ‘잠재적 부실기업’을 의미한다.
대내외 경기 여건 악화로 이자조차 내기 힘들어진 기업은 증가 추세다. 앞서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3년 경영분석(속보)’에 따르면 외부 감사 대상 비금융 영리법인 기업 3만2032개 가운데 이자보상배율이 1 미만인 곳은 40.1%였다. 이는 관련 통계를 작성한 2013년 이후 최대치다.
4대 시중은행이 대출을 한 이자보상배율 1 미만의 기업 수는 줄었다. 2022년 대출은 받은 기업은 5만921개였지만, 지난해에는 4만3908개로 7013개 업체가 감소했다. 산술적으로 한 기업당 대출액은 더 커진 셈이다. 은행권 관계자는 “고금리 상황이 지속되면서 대출 규모가 큰 기업들의 이자보상배율이 떨어지고, 정책금융 지원 등 여러 변수로 대출액이 늘어났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유 의원은 “한국은행 보고서를 보면 ‘한계기업’들에 대한 구조조정이 제때 이뤄졌다면 전체 제조업 노동생산성이 1% 이상 상승했을 것이라는 분석 결과가 있었다”며 “한계기업들의 폐업 등 비용 부담을 제도적으로 뒷받침해 주면서 환부만 도려내는 세밀하고 과감한 정책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