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동아일보
오피니언
정치
경제
국제
사회
문화
연예
스포츠
헬스동아
트렌드뉴스
통합검색
언어선택
방문하고자 하는 언어의 홈페이지를 선택하세요.
한국어
English
中文(簡体)
日本語
마이페이지
전체메뉴 펼치기
경제
미성년 자녀 둔 기혼여성 62.4%는 ‘워킹맘’…“역대 최고”
뉴스1
업데이트
2024-11-19 15:32
2024년 11월 19일 15시 32분
입력
2024-11-19 15:31
2024년 11월 19일 15시 31분
코멘트
개
좋아요
개
공유하기
공유하기
SNS
퍼가기
카카오톡으로 공유하기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트위터로 공유하기
URL 복사
창 닫기
즐겨찾기
읽기모드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가
가
가
가
가
창 닫기
코멘트
개
뉴스듣기
프린트
18세 미만 자녀와 사는 기혼女 428만명 중 267만명 ‘취업자’
‘경단녀’ 전년 대비 13.3만명 감소…“저출생 대책 효과 추정”
‘겨울이 시작된다’는 절기상 입동(立冬)을 하루 앞둔 지난 6일 서울 도심에서 두꺼운 옷차림을 한 시민들이 출근길 발걸음을 재촉하고 있다. 2024.11.6 뉴스1
미성년 자녀를 둔 기혼여성의 고용률이 관련 통계 작성 이래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돌봄이나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같은 저출생 대책의 효과가 미쳤을 것이란 분석이다.
통계청이 19일 발표한 ‘기혼여성의 고용 현황’에 따르면 올 상반기 15~54세 기혼여성은 765만 4000명으로 같은 나이 전체 여성의 57.2%를 차지했다.
기혼여성은 유배우·이혼·사별을 포함한 개념으로, 미혼인 여성만 제외된다.
18세 미만 자녀와 함께 사는 기혼여성은 427만 6000명, 그중 취업자는 266만 8000명이었다.
특히 이들의 고용률은 62.4%로 전년 대비 2.4%포인트(p) 올랐다.
이는 2016년 관련 통계 작성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혼인 감소 및 만혼 등으로 기혼여성 수(-29만 명)가 줄어든 가운데 18세 미만 자녀와 동거하는 기혼여성의 취업자 수(5만 8000명)는 늘면서 고용률이 상승한 것이다.
연령층별로는 △50~54세 68.6% △45~49세 66.7% △40~44세 62.2% △35~39세 60.2% △30~34세 56.3% 등으로 연령이 높을수록 고용률이 높았다.
반면 자녀 연령별로는 13~17세 69.2%, 7~12세 64.3%, 6세 이하 55.6% 등으로 자녀가 어릴수록 기혼여성의 고용률이 낮았다.
18세 미만 자녀와 함께 사는 취업자를 산업별로 보면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46만 8000명), 교육서비스업(40만 3000명), 도매 및 소매업(34만 5000명) 등 순으로 많았다.
직업별로는 관리자·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92만 6000명), 사무종사자(77만 4000명), 서비스 종사자(35만 1000명) 등이었다.
종사상지위별로는 임금근로자가 220만 6000명(82.7%), 비임금근로자가 46만 1000명(17.3%)이었다.
임금근로자 중 상용근로자는 176만 9000명(80.2%), 임시·일용근로자는 43만 7000명(19.8%)이었다.
18세 미만 자녀와 사는 기혼여성 취업자의 주당 평균 취업 시간은 35.3시간으로 1년 전보단 0.4시간 감소했다.
ⓒ 뉴스1
15~54세 기혼여성 중 경력단절여성은 전년 대비 13만 3000명 줄어든 121만 5000명이었다.
기혼여성 중 경력단절여성이 차지하는 비중은 15.9%로 1년 전보다 1.1%p 하락했다. 해당 비중은 2019년 19.2%, 2020년 17.6%, 2021년 17.4%, 2022년 17.2%, 2023년 17.0% 등으로 매년 감소하는 추세다.
특히 경력단절여성 규모와 비중은 관련 통계가 집계된 2014년 이후 각각 역대 최저치다.
연령층별 경력단절여성을 보면 40~44세가 33만 9000명으로 가장 많았고, 35~39세(28만 6000명), 45~49세(20만 5000명) 등이 뒤를 이었다.
일을 그만둔 사유로는 육아가 50만 명(41.1%)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결혼(30만 3000명, 24.9%), 임신·출산(29만 7000명, 24.4%) 등이 잇따랐다.
다만 전년과 수치가 동일한 가족돌봄 목적을 제외하면 다른 모든 항목에선 경력단절여성이 지난해보다 감소했다.
이 밖에 경력단절 기간은 10년 이상(50만 1000명), 5~10년 미만(27만 7000명), 1년 미만(15만 3000명), 3~5년 미만(14만 6000명), 1~3년 미만(13만 8000명) 등 순으로 집계됐다.
1년 전과 비교해 모든 기간에서 경력단절여성이 줄었다.
통계청 관계자는 “여러 저출생 관련 정책이 기혼여성의 고용률 상승과 경력단절여성 감소에 어느 정도 효과를 보인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고 말했다.
(세종=뉴스1)
좋아요
0
개
슬퍼요
0
개
화나요
0
개
추천해요
개
댓글
0
댓글을 입력해 주세요
등록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
공시가 12.5억 넘어야 상위 10%…주택 부자들 ‘여기’서 돈 벌었다
캠벨 “인태지역서 주한미군 감축 안돼…韓, 매우 너그러운 방위비 협정 체결”
[단독]대법 “수심위 명단 공개해야” 판결…채 상병-김 여사 사건 명단도 주목
닫기
댓글
0
뒤로가기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