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3.5% 이하” 62%와 대조적
연준 금리인하 속도조절론에 무게
“관세 인상 美경제에 부정적” 60%
한은, 환율 불안정에 셈법 복잡해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의 주요 경제 정책이 인플레이션을 초래할 것이란 우려가 나오는 가운데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 인하에도 제동이 걸릴 것이란 관측에 힘이 실리고 있다. 국내의 정치적 불확실성이 이어지는 가운데 연준의 금리 인하까지 더뎌지면 원-달러 환율에도 부담 요인으로 작용해 깜짝 금리 인하로 경기 부양에 힘을 싣고 있는 한국은행의 셈법은 더욱 복잡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15일(현지 시간)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가 미국 시카고대 부스 경영대학원과 함께 11∼13일 미 경제학자 47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의 89%는 내년 말 연준의 기준금리가 3.5% 이상일 것으로 예측했다. 미국 대선이 진행 중이던 올 9월 실시한 조사에서는 62%가 3.5% 밑으로 떨어질 것이라고 답변한 것과 대조적이다. 연준이 이번 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 예상대로 금리를 0.25%포인트 인하한다면 기준금리는 4.25∼4.5%가 된다.
금리 정책 전망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트럼프 당선인의 백악관 복귀다. 트럼프 당선인은 취임 뒤 10∼20%의 보편 관세와 중국에 대한 60% 이상의 관세 부과를 공약해 왔다. FT 조사에서 응답자의 60% 이상이 트럼프 당선인의 정책이 미국 경제 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답했다. 연준 이코노미스트로 활동했던 존스홉킨스대의 조너선 라이트 교수는 “연준은 팬데믹 전보다 인플레이션에 더 민감하게 반응할 것”이라고 FT에 말했다. 그는 연준이 트럼프 당선인의 정책 영향을 상쇄하기 위해 금리를 높은 수준으로 유지한다면 당선인과 제롬 파월 연준 의장 간의 갈등이 발생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연준의 금리 인하 속도 조절론에 무게가 실리면서 향후 한은의 기준금리 경로도 더욱 불투명해졌다는 분석이 나온다. 내수와 수출의 동반 부진으로 경기 둔화 우려가 커지고 있는 만큼 경제 성장을 위해선 금리를 내려야 하지만 불안정한 환율로 한은의 고민은 더욱 깊어졌다. 트럼프 행정부 출범을 앞두고 달러 강세가 이어지는 데다 비상계엄 사태로 국정 혼란마저 가중되면서 원-달러 환율은 여전히 1430원대에 머물러 있다. 고환율이 지속되면 물가 상승 압력으로 작용할 수 있어 통화정책 운용에 더 신중해질 수밖에 없다.
김영익 서강대 경제대학원 겸임교수는 “환율이 불안정해지면서 한국은행의 셈법이 복잡해졌지만 기준금리의 적정 수준을 추정해 보면 여전히 금리가 물가 등에 비해 높은 수준인 건 맞다”며 “현재 국내 정치적 불안만 좀 더 해소되면 환율은 떨어질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한은도 금리 인하 기조를 이어가야 한다고 본다”고 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