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대출 1인당 평균 대출 잔액이 처음으로 9500만 원을 넘어섰다. 저축은행 등 비은행 기관에서 빌린 대출금의 연체율도 2015년 이후 9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을 보였다. 경기침체가 장기화되며 대출 차주들의 상환능력이 악화됐다는 평가가 나온다.
25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박성훈 의원이 한국은행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3분기(7~9월) 말 기준 가계대출 차주의 1인당 평균 대출 잔액은 9505만 원이었다. 2021년 1분기 말(1~3월) 9054만 원으로 처음 9000만 원을 넘은 뒤 3년 6개월 동안 평균 대출 잔액이 500만 원 가량 증가한 셈이다. 특히 지난해 2분기(4~6월) 9332만 원을 기록한 이후 올해 3분기까지 5분기 연속 증가하는 등 최근 증가세가 더욱 가팔라지고 있다. 이 기간 기준금리가 0.5%에서 3.5%로 빠르게 올랐지만 증가 속도를 늦추진 못했다.
전체 가계대출 차주 수는 3분기 말 1974명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3분기 말 1983만 명에서 4분기 1979만 명, 올해 1분기 1973만 명, 2분기 1972만 명 등으로 점차 줄어들다가 4분기 만에 증가로 돌아섰다.
대출 연체도 비은행권을 중심으로 늘고 있다. 한 달 이상 원리금을 연체한 경우를 기준으로 한 가계대출 연체율은 올해 3분기 말 0.95%로 전 분기보다 0.01% 포인트 늘었다. 특히 대출 연체가 서민들이 이용하는 비은행권을 중심으로 늘고 있다. 은행 연체율은 2분기와 3분기 0.36%로 같았지만 상호저축은행, 상호금융조합, 여신전문금융회사, 보험사 등을 포괄하는 비은행 연체율은 2.12%에서 2.18%로 0.06% 포인트 늘었다. 비은행 가계대출 연체율은 2015년 3분기 2.33% 이후 9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비은행권 대출은 일반적으로 금리가 높고, 주로 신용도가 낮은 차주에게 제공되기 때문에 은행권 대출보다 연체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한은은 전날 발표한 금융안정보고서에서 “최근 비은행권 대출이 증가하고 있는데, 이런 현상이 확대될 경우 연체 가구 비중이 더 높아지는 것으로 분석된다”며 “이에 대한 관리를 보다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성훈 의원은 “우리 경제의 뇌관인 가계대출이 급증하지 않도록 촘촘하게 관리하고 취약층의 가계 빚 경감 대책을 마련하는 일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