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총, 폐업사업자 분석 보고서
98.6만명 폐업… 집계 이후 최대
영세 업종일수록 경영난 더 심각… 폐업 원인 1위 ‘사업 부진’ 꼽혀
“영세소상공인 지원대책 마련을”
지난해 폐업한 사업자가 100만 명에 이를 정도로 늘어난 가운데 음식업과 소매업 등 소상공인 업종을 중심으로 폐업률이 높았던 것으로 조사됐다. 극심한 내수 침체기에 기초 체력이 취약한 영세 자영업자들부터 위기에 내몰리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한국경영자총협회가 26일 발표한 보고서 ‘최근 폐업사업자 특징과 시사점’에 따르면 지난해 폐업한 사업자 수는 98만6000명이다. 이는 2006년 관련 통계를 집계하기 시작한 이후 역대 가장 높은 수치다. 지금까지 폐업 사업자 수가 가장 많았던 2019년 92만2000명보다 6만 명 이상 많다.
2016년(11.7%)부터 2022년(8.2%)까지 6년 연속 전년 대비 감소세를 보이던 폐업률(전체 사업자 중 폐업자 비중)도 지난해 9%를 기록해 다시 상승세로 돌아섰다.
지난해 폐업률 현황을 업종별로 보면 영세 업종일수록 경영난이 더 심각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전체 평균 폐업률(9%)보다 더 높게 나타난 업종은 음식(16.2%), 소매(15.9%), 대리·중개·도급(13.0%), 기타 서비스(9.6%) 등 4개 업종이다. 이 중 음식업과 소매업, 기타 서비스업의 폐업률이 전년보다 각각 1.9%포인트, 2.4%포인트, 0.9%포인트 오르면서 전체 평균을 끌어올린 것으로 경총 측은 풀이했다.
경총 관계자는 “특히 음식업의 경우 다른 업종들에 비해 이들 영세 업종의 진입장벽이 낮아 사업자 간 경쟁이 치열한 데다가 노동생산성이 다른 업종에 비해 낮은 점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했기 때문”이라고 추정했다.
사업자 유형별 분석에서도 매출 규모가 상대적으로 영세한 간이사업자(직전 연도 8000만 원 매출액 미만의 개인사업자)의 폐업률(13%)이 일반사업자(8.7%)나 법인사업자(5.5%)보다 높게 나타났다. 폐업의 주된 이유로는 ‘사업 부진’을 꼽는 기업 비중이 48.9%로 가장 많았다.
이승용 경총 경제분석팀장은 “최근 내수 부진이 지속되고, 누적된 최저임금 인상 등 인건비 부담도 높다 보니, 중소·영세기업이나 소상공인들이 경영난을 버티지 못해 폐업이 늘고 있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이 팀장은 이어 “내년 경기가 올해보다 더 어려워질 것으로 전망되는 만큼 소비 진작, 투자 촉진 등 내수 활성화와 영세 소상공인 지원을 위한 대책들이 보다 적극적으로 추진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