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년간 주담대만 49조 늘어…신용대출은 감소
‘대출 문턱’ 낮추고 있지만…급격한 증가세 없을 듯
연말 가계대출 총량 관리 속 주요 은행의 가계대출이 약 1조 6000억 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전체로는 42조 원 넘게 늘었다.
주요 은행은 지난해 하반기부터 대출을 크게 제한 후 연초부터 일부 풀겠다고 밝혔지만, 금융당국이 분기·월별 세밀한 증가세를 유지하겠다는 방침이 발표되며 당분간 급격한 증가세는 보이지 않을 전망이다.
2일 금융권에 따르면 주요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지난달 가계대출 잔액은 734조 9349억 원으로, 전달 733조 3387억 원 대비 1조 5962억 원 늘었다. 이는 10~11월 증가분 1조 1141억 원, 1조 2576억 원 대비 소폭 증가한 수준이다.
역대급 ‘영끌 광풍’이 일었던 7월 7조 1660억 원, 8월 9조 6259억 원, 9월 5조 6029억 원 대비로는 크게 줄었다.
그러나 지난해 가계대출 잔액은 직전 해인 2023년 말 692조 4094억 원과 비교해선 1년간 무려 ‘42조 5255억 원’ 늘었다. 부동산 한파가 불어닥친 지난 2023년 한해 1241억 원 감소한 것과 대비된다.
가계대출 증가세는 주택담보대출(주담대)이 이끌었다.
지난해 말 주담대 잔액은 578조 9546억 원으로, 2023년 말 529조 8922억 원 대비 ‘49조 624억 원’ 늘었다.
주담대 잔액은 영끌 광풍 때인 △7월 7조 5975억 원 △8월 8조 9115억 원 △9월 5조 9148억 원 등 큰 폭으로 증가하다, 이후로는 △10월 1조 923억 원 △11월 1조 3250억 원 △12월 1조 9608억 원 등 1조 원대를 기록했다.
반면 신용대출 잔액은 2024년 말 103조 8619억 원으로, 2023년 말 106조 4851억 원 대비 2조 6232억 원 줄었다.
지난해 12월에는 잔액이 2274억 원 감소했는데, 신용대출 잔액이 감소한 건 지난해 7월(-1713억 원) 이후 처음이다.
지난해 하반기부터 가계대출 속도 조절 속 대출 문턱을 높여온 은행권은 새해 들어선 규제 일부를 풀고 있다.
5대 은행이 일제히 주담대 모기지보험 상품 MCI·MCG 가입 제한을 해제한 데 이어, 사실상 ‘개점휴업’이던 주담대 접수도 다시 시작했다.
비대면을 통한 대출 신청도 다시 받는 데 이어, 생활안정자금 목적의 주담대 한도를 올리고 신용대출 한도도 풀기 시작했다.
다만 내년에도 ‘대출 절벽’ 기조가 당분간 이어질 수 있다.
금융당국은 은행권에 이어 2금융권도 가계대출 취급계획을 연간, 분기, 월별로 제출받을 계획이다. 통상 가계대출 총량이 리셋되는 연초 잔액이 큰 폭으로 증가하다, 연말로 갈수록 대출을 조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월별로 세밀하게 증가 속도를 조정하기 위함이다.
이에 주담대 금리가 3% 초반대로 떨어지는 공격적인 금리 경쟁도 당분간 어려울 전망이다. 금융당국이 세밀한 관리를 예고한 상황에 금리를 확 떨어트렸다간 특정 은행으로의 ‘대출 쏠림’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지난해 12월 20일 “내년에는 올해처럼 쏠림이 과하지 않게, 연중 평탄화 작업을 통해 관리할 것”이라며 “가계 소비 여력이 위축된 점을 보면 결국 중장기적으로 가계대출의 증가 추이를 꺾고 경상 GDP 성장률 이내로 (가계대출) 성장률을 관리해야 한다는 건 변함없다. 내년에도 견지할 것”이라고 했다.
지난해 가계대출 총량을 초과한 은행은 페널티를 받을 가능성도 높다. 금융당국은 은행별 DSR 조정, 총량 일부 삭감 등을 검토 중으로 이달 중 결정할 예정이다. 일부 은행은 연간 목표치를 초과한 상황인 것으로 알려졌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가계대출 총량을 초과한 은행에 대해 은행별 DSR을 적용할지, 총량 일부를 줄일지 협의 중”이라며 “최종 결정된 것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또 다른 금융당국 관계자도 “중장기적인 자산 성장 계획을 위해 초과분에 대해서는 조정하는 것이 당연하다”며 “구체적인 방식은 확정되지 않았다”고 전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