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일 더불어민주당 임광현 의원이 국세청에서 제출받은 연도별 근로소득 1000분위 자료에 따르면 2023년 귀속 1인당 평균 근로소득(총급여 기준)은 4332만 원으로 집계됐다. 전년보다 2.8% 늘어난 규모로, 1인당 평균 근로소득 상승률이 2%대를 보인 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이 본격화된 2020년(2.3%) 이후 처음이다. 근로소득 상승률은 2021년 5.1%를 보였다가 2022년에는 4.7%로 떨어졌는데, 1년 만에 1.9%포인트 낮아졌다.
반면 2023년 연간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3.6%였다. 근로소득 상승률이 물가 상승률을 0.8%포인트 밑돈 것이다. 근로소득 상승률은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였던 2009년 물가 상승률을 2.0%포인트 밑돈 적이 있었는데, 그 이후 가장 큰 격차다. 2022년에도 근로소득은 4.7% 증가하는 데 그쳐 전체 물가 상승률(5.1%)에 못 미쳤다.
2023년 근로소득자의 전체 세 부담은 전년보다 감소했다. 1인당 평균 결정세액은 전년보다 1.4%(6만 원) 줄어든 428만 원이었다. 2022년 서민·중산층의 세 부담을 줄여주기 위해 5000만 원 이하 하위 2개 구간의 과세표준을 상향 조정하고 총급여 1억2000만 원 초과 구간의 근로소득 세액공제 한도를 축소하는 등 세법을 개정한 게 큰 영향을 미쳤다.
하지만 결정세액 감소 폭은 최상위 근로소득자들이 더 컸다. 소득 최상위 0.1%에 해당하는 근로소득자 2만852명의 1인당 평균 근로소득은 9억6004만 원으로, 1인당 평균 결정세액은 3억3290만 원이었다. 2022년보다 5.2%(1836만 원) 줄어든 금액이다. 중위 50% 소득 구간의 1인당 평균 결정세액이 29만2054원으로 오히려 전년보다 0.9% 증가한 것과는 대조적이다. 중위 50% 소득 구간의 근로소득자 20만8523명의 1인당 평균 근로소득은 3302만 원이었다.
임 의원은 “국민의 실질소득 저하는 소비와 생산 감소 등 내수를 위축시키는, 민생경제에 큰 위협 요인”이라며 “이를 극복할 정확한 실태 분석과 근로소득자의 소득 향상을 지원하는 조세·재정 정책에 집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해이상 전 2023이야기 하지 말고... 설날 장보러 갔더니 그 2주전보다 품목에 따라서 30%는 오른 것 같더라... 탄핵은 탄핵이고 도대체 물가관리 하는건지?? 행정부야 마비되었다지만 이창용이는 달러 빠져나가고 환율오르는 것은 보지도 않고 연준의장놀이에 취해서... 지금 정치도 위기겠지만 물가도 위기다. 좀 뭘 해라.
한해이상 전 2023이야기 하지 말고... 설날 장보러 갔더니 그 2주전보다 품목에 따라서 30%는 오른 것 같더라... 탄핵은 탄핵이고 도대체 물가관리 하는건지?? 행정부야 마비되었다지만 이창용이는 달러 빠져나가고 환율오르는 것은 보지도 않고 연준의장놀이에 취해서... 지금 정치도 위기겠지만 물가도 위기다. 좀 뭘 해라.
댓글 1
추천 많은 댓글
2025-01-31 11:32:20
한해이상 전 2023이야기 하지 말고... 설날 장보러 갔더니 그 2주전보다 품목에 따라서 30%는 오른 것 같더라... 탄핵은 탄핵이고 도대체 물가관리 하는건지?? 행정부야 마비되었다지만 이창용이는 달러 빠져나가고 환율오르는 것은 보지도 않고 연준의장놀이에 취해서... 지금 정치도 위기겠지만 물가도 위기다. 좀 뭘 해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