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AI 인재 확보 전쟁]
韓 인재 80%, 연봉 6000만원 미만… 2023년부터 ‘AI인재 순유출국’ 돼
美-中, 10년 넘은 경력자 50% 달해… “체계적 성장 가능한 경로 고민해야”
인공지능(AI) 분야의 인재 확보 전쟁이 치열해지고 있는 가운데 국내 AI 스타트업 엔지니어들의 연봉 수준이 중국 AI업체 딥시크가 내건 채용 연봉의 4분의 1 수준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 우수한 AI 인재가 대거 처우가 좋은 글로벌 빅테크로 빠져나가면서 AI 인재 순유출국으로 전락한 지 오래다. 최근 미국과 AI 패권 경쟁을 벌이는 중국이 공격적인 인재 확보전에 나설 경우 더 많은 인재들이 유출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13일 정보기술(IT) 업계에 따르면 최근 기술 패권 경쟁으로 전 세계가 AI 인재 영입에 돌입했지만 국내 기업들은 적절한 대응을 하지 못하고 있다. 중국 구인 구직 플랫폼 ‘보스즈핀’에 올라온 딥시크의 채용 공고를 보면 핵심 시스템 개발 엔지니어, 딥러닝 연구자, 자연어 처리 알고리즘 등 AI와 관련된 직군의 연봉은 약 1억6700만∼2억5000만 원이었다. 가장 적게 제시한 연봉도 8000만 원 수준이었다.
반면 본보가 입수한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AI 스타트업 251곳에서 주요 업무를 수행하는 엔지니어의 연봉은 5000만 원대가 33.6%로 가장 많았다. 4000만 원대 연봉을 받는 엔지니어는 31.5%, 3000만 원대 이하 연봉도 16.6%였다. 국내 AI 스타트업 개발자 80% 이상이 6000만 원 미만의 연봉을 받고 있는 셈이다. 이는 딥시크가 제시한 최소 연봉보다도 적은 금액이다.
이런 열악한 처우 탓에 한국은 이미 2023년부터 AI 인재 순유출국이 됐다. 미국 스탠퍼드대가 지난해 발표한 ‘AI 인덱스’ 보고서에 따르면 2023년 기준 한국은 1만 명당 0.3명의 AI 인재 순유출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캐나다(+0.96), 싱가포르(+0.5), 영국(+0.41), 미국(+0.4)은 AI 인재가 순유입됐지만 한국은 멕시코, 이탈리아 등과 함께 AI 인재 탈출 국가라는 오명을 썼다.
AI 스타트업 관계자는 “어느 정도 경력이 쌓이면 해외로 이직하는 경우가 다반사”라며 “국내에는 이제 막 개발을 시작한 어린 연차의 인력만 남아 있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AI 개발을 이끌어야 할 핵심 인재들이 미국, 캐나다, 독일 등으로 빠져나가고 있는 상황이라는 것이다.
● 시니어 개발자는 모두 해외로 떠나
실제 미국 AI 인력 전문 스타트업 드라우프가 2023년 12월부터 지난해 말까지 전 세계 AI 인력 현황을 조사한 결과 한국은 AI 인력 상위 20개 국가 중에서 ‘5년 차 이하’ 인력 비중이 49%로 가장 많은 것으로 집계됐다. 10년 이상 경험을 가진 인력은 22%에 그쳤다. 반면 AI 인력 규모 1, 2위를 차지하는 미국과 중국은 10년 이상 경험을 가진 인력이 각각 50%, 41%를 차지했다. 5년 차 이하 비중은 각각 21%, 20% 수준으로 고연차 개발자 비중이 한국에 비해 훨씬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가들은 국내 인재 유출을 막기 위해서는 양적으로 인력을 많이 배출하는 것이 아니라 지속적으로 커리어를 쌓아 나갈 수 있는 질적 성장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이를 위해서는 기업도 개발자들의 연봉을 단순히 ‘비용’으로 생각하지 말고 ‘투자’라고 생각하는 태도 전환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홍성민 STEPI 선임연구위원은 “과거처럼 많이 양성해 놓고 ‘이 중 하나만 걸려라’라는 식의 인재 양성이나 채용은 더 이상 통하지 않는다”며 “기업에서도 인재가 체계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경로를 고민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활석 업스테이지 최고기술책임자(CTO) 역시 “연봉도 중요하겠지만 AI 연구를 할 수 있는 생태계가 잘 마련되면 개발자들이 모이고, 또 실력 있는 사람들이 모이면 오히려 연구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선순환 체계가 마련될 것”이라며 “이런 체계가 자리 잡기 전까지만이라도 정부가 마중물을 대는 역할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일단 고액연봉을 지급해야 인재가 온다.. 샤오미가 딥시크 개발자 뤄푸리(여, 30세) 연봉 20억에 스카우트 제의했다고 한다.. 20억이면 인생 걸 만하지.
2025-02-14 11:28:01
중국에 가면 정말 바보🤭 근거 : 한국인, 中서 체포되 구금,...“반도체 정보 유출 혐의“ YTN
2025-02-14 10:38:59
이번 글로벌 딥시크 충격 사태는 AI산업이 21세기 국가 핵심기간산업임을, 그 파급 효과가 산업 전반에 엄청나다는 것을 알게 했다. 정부와 관련 업체들의 대폭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 1) AI 산업 기술 유출 방지 보호법 강화 2) AI 개발 종사자들 처우 대폭 개선(+실적에 따라 경쟁력 있는 추가 보상) 3) 전문 교육 기관 확충(고교, 대학 학과 등)
2025-02-14 10:33:40
반도체 AI 양자물리학 기계설비 설계 모터분야 등 등 국가일류전문가분들 여러분들이야말로 대한민국을지탱하는 중요한분들입니다 아무리쭝국애들이 돈더준다고꼬셔도 속지마시기를바랍니다 그쪽에넘어가면 필요한기술빼먹고 바로목아지시키겠지요 지금까지그래왔어요 절대이용당하지 마시길바랍니다
2025-02-14 10:04:54
입사는 본인 능력으로 퇴사는 회사주도하에 정리된다면,
2025-02-14 10:04:51
규제풀고 산업스파이잡
산업스파이잡고 규제풀고 해고자유롭게 !!!!! AI 우리도 빨리 만들자!
2025-02-14 06:47:03
개발자의 진짜 능력은 졸업장이나 자격증보다 일을 시켜봐야 알 수 있다. 그래서 대부분 나라는 연봉을 많이 책정해도 나중에 쉽게 자를 수 있다. 그런데 한국은 이게 법적으로 쉽지 않다. 그래서 연봉을 많이 못 주는 것이다.
댓글 7
추천 많은 댓글
2025-02-14 06:47:03
개발자의 진짜 능력은 졸업장이나 자격증보다 일을 시켜봐야 알 수 있다. 그래서 대부분 나라는 연봉을 많이 책정해도 나중에 쉽게 자를 수 있다. 그런데 한국은 이게 법적으로 쉽지 않다. 그래서 연봉을 많이 못 주는 것이다.
2025-02-14 10:04:54
입사는 본인 능력으로 퇴사는 회사주도하에 정리된다면,
2025-02-14 10:04:51
규제풀고 산업스파이잡 산업스파이잡고 규제풀고 해고자유롭게 !!!!! AI 우리도 빨리 만들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