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일 방영된 MBC의 6·25특집극 ‘오른손과 왼손’(극본 이광재, 연출 한희). 이 드라마는 두호(최재성 분)와 재수(장동직), 두 주인공의 끈질긴 연(緣)과 치열한 삶을 통해 6·25와 10·26이라는 우리 현대사의 ‘상처’에 접근하는 방식을 취했다.
‘오른손과…’는 명망가 위주의 기존 정치드라마와 달리 두 주인공을 당시 중앙정보부 직원(두호)과 경호실 직원(재수)으로 설정했다. 역사의 현장에 등장했지만 이름도 기억할 수 없는 이들, 그러나 역사의 수레바퀴에 의해 운명이 뒤바뀌고 존엄성마저 흔들리는 평범한 이들을 드라마의 영역으로 끌어들인 점이 돋보인다.
그러나 아쉽게도 이 드라마에서 현대사와 두 인물은 제대로 된 만남을 갖지 못한다. 사건은 사건대로, 사람은 사람대로 헛바퀴만 돌 뿐이다.
드라마의 시점은 주인공들의 성장기와 10·26 궁정동 만찬 전후의 장면들이 주로 교차된다.
결론적으로 말하면 이 드라마는 두사람에 얽힌 과거사를 보여주는 데 지나치게 많은 힘을 써버렸다. 두사람의 인생과 시대가 집약적으로 만나는 운명의 현장인 궁정동 장면은 상황을 재연하는 수준으로 처리됐다. 이 긴박한 상황에서 맞선 두호와 재수의 갈등과 섬세한 심리묘사가 빠진 것이다. 때문에 한 나라의 대통령이 죽는 상황에서도 두호의 가장 큰 관심사는 재수에게 “같이 살자”며 친구를 살리는 것으로 여겨질 정도.
그래서일까. 두호가 80년5월 형장의 이슬로 사라지는 마지막 장면이 방영된 뒤에도 의문이 꼬리를 문다. 박정희대통령을 존경한다는 두호는 왜 10·26에 가담했을까. 생사의 기로에 선 재수는 명분보다 삶을 선택하고 싶은 갈등은 없었을까. 제작진이 선택한 상징적인 갈등구조는 두 인물과 시대의 불충분한 만남으로 인해 부담스럽고 인위적인 과장이 됐다.
〈김갑식기자〉gskim@donga.com
구독
구독
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