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위 노조 등은 지난달 김정기 전 위원장 사퇴 직후 방송 정책 실패에 따른 연대 책임을 물어 강 부위원장을 포함한 방송위원들의 사퇴를 한달 넘게 요구해 왔다. 그러나 김대중 대통령은 노조의 반발에도 불구하고 강 부위원장을 위원장에 내정하고 공석 중인 방송위원에도 방송 전문가가 아닌 김동선 전 정보통신부 차관을 임명했다.
▼관련기사▼ |
방송위와 방송사 노조들은 '강 위원장 체제'에 대한 퇴진 투쟁을 벌일 것이라고 벼르고 있어 방송위의 혼란은 당분간 계속될 전망이다. 방송위 노조는 "방송위가 방송정책 기구로 바로서기 위한 노력을 정권이 정면으로 가로막고 있다"며 강 부위원장의 위원장 내정을 철회하라고 요구하고 있다. 강도성 방송위 노조위원장은 "방송위의 정책 실패에 책임이 있는 강 부위원장은 지금이라도 자진 사퇴해야한다"고 주장했다.
또 방송위 내부에서도 방송위원들의 법률 지식 부족으로 현재의 방송 정책 혼란이 야기됐다는 점 등을 들어 신임 방송위원장은 외부의 법률 전문가를 임명해야 한다고 주장, 파장은 더욱 증폭될 것으로 보인다. 한 방송위원은 "방송위의 모델인 미국 연방방송통신위원회(FCC)의 경우 위원 5명 중 4명이 변호사"라며 "뉴 미디어 시대를 이끌어가기 위해서는 외부의 전문가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한편 김동선 신임 방송위원의 임명도 방송위 혼란에 부채질을 하고 있는 양상이다. 그동안 10여명이 방송위원 하마평에 올랐으나 김 위원이 막바지에 급부상, 최종 낙점됐다. 하지만 그는 체신 업무에만 종사하다 김대중 정부 들어 정보통신부 기획관리실장과 차관을 연이어 지냈을 뿐 방송 업무와 관련된 업무를 한 적이 없다는 것.
이에 따라 MBC 노조는 성명을 통해 "정통부 출신의 낙하산 인사를 통해 결국 또 하나의 방송 장악을 의도하는 것으로 밖에 볼 수 없다"고 주장했다.
김 위원을 임명을 둘러싸고 학연에 따른 낙하산 인사라는 지적도 끊이지않고 있다. 방송위 노조는 19일 성명에서 김 위원의 임명은 특정고교 출신 인사에 대한 전관 예우로 밖에 볼 수 없다 고 지적하기도 했다.
방송위의 새체제가 출범하지만 방송위 내부갈등과 방송사 노조 등의 반발로 지상파 재전송 허용 범위 등 위성방송 실시에 따른 정책, 지방선거와 대통령 선거와 관련한 선거 보도 기준 마련 등 산적한 방송가 현안 해결이 지연될 수밖에 없을 것으로 보인다.
이승헌기자 ddr@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