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은 ‘미디어혁신 원년’이란 말이 나올 만큼 방송계의 새판 짜기가 본격화한다. 내년부터 방송과 통신 융합의 상징인 인터넷TV(IPTV)가 대량 보급됨에 따라 대대적인 지각변동이 불가피하다. MBC 노조의 파업은 이런 거대한 물줄기를 거슬러 지상파 기득권, 노조 기득권을 지키기 위한 저항이다. 공영방송이면서도 광고 수입에 전적으로 의존하는 기형적인 MBC의 노조원들은 민영화할 경우 고액 연봉과 ‘철밥통 일자리’ 같은 기득권이 사라질 것을 두려워하고 있다.
이 점에서는 노조와 경영진의 이해가 일치한다. 엄기영 MBC 사장은 사내 담화문을 통해 “미디어 관계법 개정안이 통과되면 부정적 여파가 몰려올 것”이라며 노조와 사실상 같은 편에 서는 듯한 발언을 했다. KBS의 파업 외면은 직접적인 이해관계가 없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언론노조는 ‘그들만의 방송’을 계속 누리기 위해 ‘방송의 공공성 수호’ 같은 거짓 포장으로 국민을 속이고 있는 것이다. 이들은 잠시 위임받은 전파를 이용해 ‘이명박 정권이 방송을 신문과 대기업에 넘겨주려 하고 있다’며 시청자를 기만하는 방송을 연일 내보내고 있다.
국민은 이념 편향적인 노조에 좌지우지되는 방송의 폐해를 신물 나도록 경험했다. 지난 정권 때 코드방송으로 권력의 하수인 노릇을 했고, 미신 같은 광우병 공포를 확산시킨 장본인이 MBC 아니었던가. 미디어산업이 국가이익 창출을 위해 기여해야 할 시대를 맞았는데도 방송은 조금도 변하지 않겠다며 버티고 있는 꼴이다.
경제 한파로 서민은 고통을 겪고 있고, 일자리를 잃은 실직자들의 한숨 소리도 크다. 그런데도 억대 연봉이 수두룩한 방송사의 직원들은 근로조건과 관계없는 불법 파업이자 정치 파업을 하고 있다. 국민을 위해 방송은 반드시 개혁되어야 한다.
구독
구독
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