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시향단원, ‘정명훈’을 말하다
악보 보고 지휘하는 경우 거의 없어
어떤 잡음도 잡아내는 소리의 예술사
실수? 되레 단원들이 진땀나게 하죠
지휘자로서 정명훈과 서울시향이 동거 동락한 지도 어느덧 6년째. 단원들의 눈에 비친 거장의 모습이 궁금했다.
서울시향 홍보실의 협조로 세 명의 단원을 연습실에서 만났다. 바쁜 시간을 쪼개 인터뷰에 응해준 임가진(제2바이올린 수석), 에드워드 최(타악기 수석), 채재일(클라리넷 수석) 세 분께 감사드린다.
- 평소 정명훈 예술감독에 대한 단원들의 호칭은.
채: 처음부터 마에스트로(거장)라고 부르고 있다. (혹시 ‘정마에’라고 부르는 사람은 없나?) 하하하! 설마. 아무도 없다. - 연습실 분위기가 궁금하다. 의외로 엄하지는 않을까.
임: 옆에서 보면 긴장감이 상당하다. 지휘자가 무서워서가 아니라 단원들이 고도의 집중을 하다보니 자연스럽게 생기는 긴장감이다. 사실 마에스트로는 리허설을 할때 농담도 자주 하고, 경험담도 많이 들려준다. 좌중이 웃음바다가 될 때도 많다. 그렇긴 해도 음악적인 긴장감은 어쩔 수 없다.
- 정명훈 감독을 보면서 ‘아! 정말 대단하다’하고 느껴지는 순간은.
최: 깜짝 놀랄 때가 있다. 음악을 연주하다 보면 잘 안 들리거나 크게 중요하지 않은 부분이 있다. 이런 것은 사실 앞에서 잘 안 들릴 수도 있는데 딱딱 정확히 집어낸다. 다 알고 있다. 굉장하다!
채: 소리를 만들어내는 능력이 다른 지휘자와 확실히 다르다. 원하는 게 확고하다. 원하는 소리가 나올 때까지 포기를 안 한다.
임: 아무리 시간에 쫓겨도 제대로 된 사운드가 나올 때까지 계속해서 단원을 도전시킨다. ‘이쯤이면 넘어가지 않을까’싶은데도 절대 그냥 넘어가지 않는다.
최: 암보(악보를 외우는 것) 능력도 놀랍다. ‘거의’가 아니라 ‘퍼펙트’하게 외운다.
임: 단원들이 꼼짝 못하는 이유 중의 하나가 아닐까. 악보를 보고 지휘하는 경우가 거의 없다. 협주곡 정도만 가끔 볼 정도다.
채: 베토벤도 아니고 스트라빈스키의 ‘봄의 제전’ 같은 난해한 곡을 암보로 지휘할 때는 경이로울 정도다.
- 정명훈 감독과 함께 한 지도 6년째이다. 서울시향은 무엇이 달라졌나.
임: 마에스트로와 우리의 목표는 ‘누가 와도 서울시향 고유의 사운드가 흔들리지 않게 만드는 것’이다. 베를린필, 빈필은 세 살짜리 어린애가 지휘하든 80대 노인이 하든 고유의 사운드가 변하지 않는다. 그런 목표를 위해 우리도 힘껏 노력하고 있다. 5년 전에는 마에스트로가 있을 때가 100, 없을 때가 1이었다면, 지금은 그 차이가 많이 줄어들었다.
- 정명훈 감독도 무대에서 실수할 때가 있을 텐데.
채: 실수가 없다. 오히려 우리가 실수를 해서 마에스트로를 당황하게 만들 때가 많다.
임: 협주곡을 할 때 솔리스트가 가끔 실수를 하기도 한다. 그럴 땐 실수가 바로 잡힐 때까지 그냥 지휘를 하다가, 문제가 해결되는 순간 단원들을 향해 슬쩍 웃는다. 사실 무대에서의 마에스트로는 거의 포커페이스에 가깝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