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 수목드라마 ‘아름다운 그대에게’에 출연하는 아이돌그룹 ‘f(x)’(에프엑스) 멤버 설리(18)의 남장 연기가 시청자들의 시선을 끌고 있다. 이 드라마는 남자 고등학교에 위장 전학한 여고생 재희(설리)의 좌충우돌을 다뤘다. 그런데 재희를 보며 어디서 본 듯한 느낌을 받는 시청자들이 적지 않다. ‘커피프린스 1호점’의 윤은혜(2007년), ‘바람의 화원’의 문근영(2008년), ‘미남이시네요’의 박신혜(2009년), ‘성균관스캔들’의 박민영(2010년) 등 1년에 한 번꼴로 ‘남장 여자’ 드라마가 등장했기 때문이다. 남장 여자 드라마를 심리학적으로 분석했다.
○ ‘분석심리학’으로 보면
이 드라마들의 구조는 비슷하다. 한 여성이 우연치 않게 남장을 한다, 이후 사랑에 빠지지만 정체가 드러난 뒤 갈등을 겪는다. 다시 갈등 뒤 사랑을 이룬다는 식이다. 뻔한 스토리이지만 시청자들을 사로잡는다.
문화평론가들은 남장 여자 내러티브 구조를 칼 구스타브 융(1875∼1961)의 ‘분석심리학’으로 설명한다. 융에 따르면 인간의 내면에는 ‘아니마’와 ‘아니무스’가 존재한다. 아니마는 남성 내 존재하는 여성성, 아니무스는 여성 속 남성성을 뜻한다. 이 때문에 남성이건 여성이건 반대쪽 성(性)을 닮기를 원한다. 설리가 보브 컷(일자로 자른 단발)에 남성 트레이닝복을 입은 모습이 이런 심리를 자극한다는 것. 이문원 문화평론가는 “동성애 코드와도 연결된다”며 “특히 10대 시청자들은 중성적인 주인공에게서 매력을 느낄 것”이라고 말했다. 성(性) 심리학적으로는 반대 성의 옷을 입고 싶어 하는 에오니즘(eonism)도 자극한다.
금기 엿보기 심리도 있다. 드라마 속에는 남장 여자가 남자 목욕탕에 들어가는 장면이 항상 나온다. 재희(설리)의 활동 공간은 금녀(禁女) 구역인 남자 고교다. 김윤희(박민영)와 고은찬(윤은혜)의 공간도 각각 성균관과 남자들만 일하는 카페였다.
○ ‘진화심리학’으로 보면
성별에 따라 좋고 싫음도 명확하게 갈린다. 남성 시청자들은 대부분 “극중 남장 여자는 머리 길이가 짧거나 걸음걸이가 남성적이거나 관계없이 모두 예쁘게 보인다”며 호감을 나타낸다.
생존과 번식의 관점에서 인간을 분석하는 진화심리학 관점에서 보면 남성은 여성의 외모를 1순위로 놓는다. 남성 시청자들은 남장 여자배우의 분장이나 연기보다는 여배우 자체의 성적 매력에 심취한다는 것. 김헌식 문화평론가는 “남장 여자도 결국 아름다움으로 평가받는다”고 말했다. 실제 극중 남장 여자들은 ‘진짜’ 남자같이 선이 굵은 개성파 배우보다는 설리와 윤은혜, 박민영, 문근영, 박신혜 등 동글동글하고 여성스러운 여배우들이 맡았다.
하지만 결혼적령기 여성(20대 이상)들은 “남장 여자 캐릭터가 매력적이지 않다”고 말한다. 이들은 자신과 아이를 먹여 살릴 남성의 ‘능력’을 우선시하기 때문에 ‘보이시’한 여장남자에는 관심이 적다.
오히려 남장을 하고 팔자로 걸어도, 화장한 자신들보다 예쁜 드라마 속 남장 여자배우들에게 느끼는 반감이 크다. 회사원 정은경 씨(여·28)는 “(외모에서) 질투심도 생긴다”고 말했다. 반면 여배우들은 ‘남장 여자’ 캐릭터를 선호한다. 머리를 짧게 자르고 남성의 동작과 말투를 몇 가지만 흉내 내도 이미지 변화 폭이 커 연기를 잘한다는 ‘착시 효과’를 만들어내기 때문이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