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엽만 굴러도 눈물 나는 10대부터 원숙한 사랑의 깊이를 아는 장년층까지, 가을에는 멜로 영화가 그립다. 해마다 이때면 울고 싶은 관객의 뺨을 때려줄 멜로물이 스크린에 걸린다. 올해 찾아온 멜로 영화 중 관객의 취향대로 골라 볼 세 편을 소개한다. 각기 다른 감성의 멜로 영화에 색깔을 입혀봤다.
○ 화이트―‘우리도 사랑일까’
사랑에 대한 백지 그대로의 보고서. 결혼 5년째를 맞는 작가 마고(미셸 윌리엄스)는 남편 루(세스 로건)를 여전히 사랑한다고 믿는다. 과격한 애정표현을 할 만큼 부부의 애정 전선은 이상 없어 보이지만 마고는 옆집에 이사 온 대니얼(루크 커비)에게 마음을 빼앗긴다.
영화는 비행기를 갈아타는 상황에서도 공황 장애를 겪는 소심한 마고가 새로운 사랑으로 갈아타는 모험을 그린다. 마고는 뻔한 일상 속에 찾아온 새로운 자극에 잠시 들뜨지만 그것뿐이다. 익숙한 것과 헤어져야 하는 아픔이 더 커 보인다. 이내 새로운 환희를 얻고도 마냥 행복할 수 없는 사랑의 불가해성(不可解性)이 관객을 기다린다. 극장을 나오면 마음속에 낙엽이 구르고 찬비가 내린다. 같은 결의 ‘건축학 개론’보다 스산하고 ‘봄날은 간다’보다 아프다.
이제 33세인 여성 감독 세라 폴리는 애늙은이처럼 사랑에 대한 환상을 거세해 버린다. 무덤덤하게 그려낸 화면들은 반찬 냄새나는 일상과 사랑을 샴쌍둥이처럼 이어 붙인다. 롤러코스터를 탄 주인공이 듣던 영국 밴드 버글스의 노래 ‘비디오 킬드 더 라디오 스타(Video Killed The Radio Star)’가 귓전에 오래 맴돈다. 지난달 27일 개봉해 전국 20여 개 스크린에서 ‘조촐하게’ 상영하고 있지만 입소문을 타고 4만 명 가까운 관객이 들었다.
○ 옐로―‘늑대 소년’
노란 빛깔의 동화 같은 멜로. 주인공은 동화에서 많이 본 폐병 치료를 위해 시골로 요양 온 소녀(박보영). 그의 앞에 6·25전쟁 중 유전자 조작으로 태어난 늑대소년(송중기)이 나타난다. 늘 그렇듯 미녀와 야수는 사랑을 키워간다.
자칫 유치할 수 있는 이야기는 조성희 감독의 메가폰을 거쳐 오묘한 색깔을 입었다. 지난해 ‘짐승의 끝으로’로 주목받았던 그는 기괴한 이야기와 따뜻한 감성을 이어 붙이는 남다른 재주를 가졌다. 거친 캐릭터가 끌어올리는 긴장을 이용해 감정의 완급을 활용할 줄 안다.
송중기 박보영은 이 영화를 위해 태어난 배우들처럼 캐릭터에 녹아들었다. 대사 한마디 없이 늑대 소년의 미묘한 감정을 표현한 송중기는 여성 관객의 환호를 받을 만하다. 과거와 현재의 인물로 1인 2역을 소화한 박보영도 ‘가을 동화’의 주인공으로 제격이다.
○ 블루―‘용의자X’
한 남자의 일방적인 사랑을 담은 파란 빛이다. 일본 히가시노 게이고(東野圭吾)의 원작 소설은 인물의 심리 탐구에 집중한 반면 방은진 감독은 사랑 이야기로 채색했다.
이야기는 원작처럼 흥미롭다. 고교 교사인 천재 수학자 석고(류승범)가 살인을 저지른 옆집 여자 화선(이요원)을 위해 치밀한 알리바이를 짠다.
하지만 긴장과 불안의 이중주가 주는 영화적 재미는 어느 순간 신파로 바뀐다. 세상에서 수학이 가장 아름답다고 믿던 석고가 손 한 번 잡아본 적 없는 아름다움(화선) 앞에 모든 걸 바치는 이야기는 여성을 위한 판타지다. 문제는 남녀의 교감이 없어 일방적 헌신의 설득력이 떨어진다는 점이다. 주인공이 어느 순간 치밀한 전략으로 궁금증을 유발하던 ‘천재’에서 여성의 로망인 ‘나만을 위해 헌신하는 남자’로 바뀌는 흐름이 매끄럽지 못한 점도 아쉽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