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 베를린은 ‘꽝’이다. 제63회 베를린 국제영화제의 주무대인 포츠담 광장 주변에는 개막일인 7일부터 사흘 내내 눈이 내렸다. 모스크바 출신 기자도 놀랐다는 서울의 ‘영화 15도 추위’는 없지만 습한 공기가 뼛속을 파고든다. 볼 키스를 하는 여인들처럼 지중해의 햇살이 반겨주는 프랑스 칸 영화제와 딴판이다.
음식은 입맛을 살리기보다 허기를 채우는 용도라고 해야 할까. 영화 ‘베를린’에서 식당을 찾은 리학주(이경영)가 련정희(전지현)에게 했던 “접대하라우”란 대사가 들릴 것 같은 독일식 식당. 메뉴에는 입맛 당기는 게 없다. “맥주나 주세요.”
경쟁 부문에 오른 작품들도 칸보다 못하다. 지난해 칸은 미하엘 하네케(‘아무르’), 켄 로치(‘에인절스 셰어’), 크리스티안 문지우(‘비욘드 더 힐스’), 압바스 키아로스타미(‘라이크 섬원 인 러브’) 등 쟁쟁한 감독의 작품들로 장식됐다. 이에 비해 베를린은 홍상수 감독(‘누구의 딸도 아닌 해원’)을 비롯해 1992년 칸에서 황금종려상을 탄 빌 어거스트(‘나이트 트레인 투 리스본’), 거스 밴 샌트(‘프라미스드 랜드’), 스티븐 소더버그 감독(‘사이드 이펙츠’)이 눈에 띄는 정도다. 칸에 비하면 이름값이 한참 떨어진다.
그래도 기자는 칸보다 베를린이 좋다. 프랑스에 비하면 이곳 사람들은 천사다. 프레스 카드도 신청하지 않고 무작정 영화제를 찾아간 기자를 위해 조직위원회 여직원은 극장에 자리를 마련해줬다. 프랑스처럼 대놓고 거스름돈을 ‘꿀꺽’하려는 택시운전사도 없다. 조금 돌아서 갔다 싶으면 요금을 깎아주는, 운전사마저 신사다.
영화에 대한 열정은 지중해 햇살보다 뜨겁다. 티켓부스에는 아침부터 사람들이 긴 줄을 선다. 상영관에는 빈자리를 찾기 어렵다. 반면 할리우드 스타가 레드카펫을 밟는 날에 호들갑을 떠는 사람은 별로 없다. 냉정과 열정이 묘하게 공존한다. 옛 베를린 장벽이 있던 곳이라 동베를린과 서베를린의 정서가 혼재하는 것처럼 말이다.
기사 마감을 반기듯 누군가가 호텔 방문을 두드린다. “민 기자, 슈바인스 학센(독일식 훈제 족발) 먹으러 가야지.”―베를린에서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