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룹 엑소의 중국인 멤버 루한이 10일 소속사 SM엔터테인먼트(SM)를 상대로 전속계약해지소송을 제기하면서 외국인 멤버에 대한 관리가 가요계 중요한 화두로 떠올랐다.
한류시장이 세계적으로 확대되고 아이돌 그룹에 외국인 멤버가 많아지는 상황에서 크리스와 루한의 잇단 소송이 나쁜 선례가 되어선 안 된다는 목소리가 높다.
외국인으로 느낄 수밖에 없는 정서적 문제, 문화적 차이에 대한 어려움이 있다지만 이를 감수하고 한국에서 활동하겠다며 전속계약까지 맺었음에도 크리스와 루한이 ‘스타’가 된 후 연쇄적으로 소송을 제기하면서 ‘뜨니까 떠난다’는 비난도 나온다.
더욱이 전속계약해지소송을 내고 슈퍼주니어에서 탈퇴한 한경과 크리스가 현재 중국에서 활동하는 데 있어 인기에 큰 타격을 받지 않고 있는 상황에 영향을 받은 게 아니냐는 추측이 강한 설득력을 얻고 있어 루한의 소송에 대한 시선은 곱지 않다.
하지만 전속계약효력부존재 소송에서 SM이 승소하더라도 루한이 계속 “계약은 무효하다”고 주장하면서 중국에 계속 머무는 경우, 소속사가 “판결에 따라 계약은 유효하다”며 그를 강제로 한국으로 불러올 수도 없는 노릇. 게다가 마음이 떠난 멤버를 팀에 남겨두는 일도 탐탁치 않은 일이어서 “SM으로선 사실상 속수무책인 상황”이라는 이야기가 많다.
SM이 루한을 상대로 손해배상청구소송을 내더라도 그가 한국에 남겨둔 재산이 없는 한, 한국을 완전히 떠난 외국인을 상대로 얼마나 효과를 볼 수 있을지도 미지수다. 그동안 연예인과 기획사가 전속계약 문제로 소송을 벌일 경우 대부분 연예인이 승소한 선례도 SM에게는 불리한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SM은 10일 루한의 소송에 대해 보도자료를 내고 “크리스 건과 같이, 루한은 소를 제기할 하등의 이유가 없는 상황에서 동일한 법무법인을 통해 동일한 방법으로 패턴화된 소를 제기한다는 것은 그룹 활동을 통해 스타로서 큰 인기를 얻게 되자, 그룹으로서 활동이나 소속사를 포함한 모든 관련 계약 당사자들의 이해관계를 무시하고 개인의 이득을 우선시하여 제기한 소송으로 판단된다”고 입장을 밝혔다.
이어 “주변의 배후 세력도 존재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당사는 이러한 상황에 대하여 중국을 포함한 해외 파트너들 및 법률 전문가들과 함께 적극적, 다각적으로 차분히 대응해 나갈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현재 국내 가요계에는 외국인 멤버가 포함된 아이돌 그룹이 많고, 한중 합작 콘텐츠도 증가하는 추세에서 크리스와 루한의 소송이 향후 어떤 파장을 미칠지 관심거리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