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禁이 절반 이상? 한국 영화 왜 이렇게 됐지?

  • 동아닷컴
  • 입력 2016년 10월 12일 14시 22분


사진=영화 ‘아가씨’
사진=영화 ‘아가씨’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등급분류를 받은 한국영화 중 ‘청소년 관람 불가(청불)’ 등급 영화가 절반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수입 외국영화를 포함한 전체 영화의 ‘청불’ 영화 비중이 늘어난 가운데, 이 같은 현상이 영화시장의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을지 이목이 집중된다.

최근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김병욱 더불어민주당 의원(성남시 분당을)이 영상물등급위원회(영등위)에서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올해 9월말까지 등급분류를 받은 한국영화 373편 가운데 189편(50.7%)이 흔히 19禁이라 부르는 ‘청불’ 등급인 것으로 나타났다.

나머지는 전체관람가 49편(13.1%), 12세이상관람가 52편(13.9%), 15세이상관람가 81편(21.7%), 제한상영가 2편(0.5%) 이었다.

한국영화 중 ‘청불’ 등급 영화 비중은 지난해 52.0%로 사상 처음 절반을 넘어섰다. 당시 수입 외국영화를 포함한 전체 영화도 등급분류 사상 처음으로 청불 영화 비중이 절반을 넘어섰다. IPTV와 VOD를 플랫폼으로 하는 부가시장을 겨냥한 일본 성인영화 수입이 크게 늘어난 것이 주 이유로 보인다.

‘청불’ 등급 영화 관객 수는 2014년 1200만 명 수준에서 지난해 1800만 명으로 늘어났다. 지난해 흥행작 10위권에는 한국영화 ‘내부자들’(5위)과 미국 ‘킹스맨: 시크릿 에이전트’(7위)가 들었다. 올해 8월까지 집계된 흥행작 10위 안에는 한국 ‘아가씨’가 9위에 올랐다.

김병욱 의원은 “청소년 관람 불가 등급이 절반을 넘는 현상이 한국영화의 대세로 자리 잡을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그 배경과 영화시장의 미래, 영화소비자의 선택권에 미칠 영향을 다양한 각도에서 분석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한편 영화등급 분류 과정에서 신청사의 희망등급과 결정등급이 일치하는 비율은 올해 9월 현재 전체 평균 91.3%, 청불 영화 94.8%를 기록했다. 이는 지난 2012년 전체 평균 65.8%, 청불 영화 63.7%에 비해 각각 25.5%p, 31.1%p가 증가한 것이다.

영등위에 따르면 이 같은 현상은 영화시장이 급속하게 성장함에 따라 전문성을 갖춘 수입·제작사가 늘어난 데다, 애초부터 성인층을 대상으로 하는 영화를 제작하는 사례가 늘어났기 때문이다.

박예슬 동아닷컴 기자 yspark@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1

추천 많은 댓글

  • 2016-10-12 16:49:32

    세계 엿사상 588 없앤나라 할일이 그것밖에 더 봐유 감독들이 수요가 많음을 알고 모두다 홀라당 시켜 불키게 한거지유 사방에 박카스 할배 할매 만세 부르고 남녀노소 풀피리 불며 화약 놀이 하기에 딱참이래유 그래도 인구는 늘지 안는것 보면 모두가 불임소?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