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택시운전사’는 소시민과 독일인 기자가 겪는 1980년 5월 광주의 이야기다. 아내를 먼저 떠나보내고 홀로 딸을 키우는 택시기사 만섭(송강호)이 외국손님을 태우고 광주에 갔다 통행금지 시간(밤 12시∼다음날 새벽 4시) 전에 서울로 되돌아오면 10만원의 거금을 준다는 말에 솔깃해 광주로 향하면서 벌어지는 사건을 그린다.
여기서 외국손님은 당시 광주에서 벌어진 항쟁과 폭력의 상황을 취재하려는 독일인 기자 위르겐 힌츠페터(토마스 크레취만). 실존했던 인물로, 독일 제1공영방송(ARD-NDR) 소속이었던 그는 유일하게 광주 현지에서 그 비극적 진상을 목격해 세계에 알린 기자다. 그가 ‘김사복’이라는 이름으로 기억하는, 하지만 아직 익명으로 남은 실제 택시기사와 함께 광주로 향한 뒤 거기서 벌어진 참담한 상황이 영화의 내용적 핵심을 이룬다.
영화는 나아가 신군부의 잔혹한 진압 속에서도 피어난 인간애에 초점을 맞춘다. 실제로 1980년 5월18일부터 27일까지 주먹밥을 나눠 먹으며 서로를 위로했던 광주시민들의 헌신적 공동체처럼, ‘택시운전사’는 현지 택시기사들과 청년들을 등장시켜 만섭으로 대표되는 소시민들의 더욱 성숙한 인간적 변화와 그 속에서 나누는 인간애로서 역사와 현실을 되돌아보게 한다.
‘택시운전사’가 국가폭력의 피해자로서 광주를 그렸다면, ‘포크레인’은 국가폭력에 의해 또 다른 면에서 희생당한 공수부대원의 이야기다. 시위 진압에 투입된 공수부대원 김강일(엄태웅)이 20여년의 세월이 지난 뒤 포크레인 기사로 살아가다 우연한 사건을 통해 광주의 아픔을 되짚어 간다.
대체 누가 그 참혹한 진압의 폭력을 지시했는지, 그 진실을 좇아가지만 제대로 드러나지 않는 그래서 더욱 아플 수밖에 없는 진압군의 이야기다. 겉으로는 ‘가해자’처럼 보일 수 있지만 그들 역시 국가폭력의 무고한 피해자임을 드러낸다.
사실 본격 상업영화가 광주 진압군의 시선으로 당시 이야기를 그리기는 흔치 않은 일이다. 이순원의 ‘얼굴’이나 정찬의 ‘슬픔의 노래’ 등 공수부대원을 비롯한 진압군 혹은 계엄군들이 지닐 수밖에 없는 아픔을 어루만지는 문학작품이 다수 나왔다는 점에서 스크린을 통해 그 또 다른 피해의 양상을 확인하는 건 다소 늦은 감이 없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