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수성향' 가수 김흥국이 2011년 MBC 라디오에서 타의에 의해 하차한 이유가 MBC 내 진보 성향의 진행자와 연예인 퇴출 작업의 물타기용이었다고 보도된 가운데, 배우 문성근이 "나쁜 사람들"이라고 밝혔다.
문성근은 4일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김흥국의 MBC 하차 관련 보도를 링크해 "히야~ 나쁜 사람들"이라며 비판했다.
앞서 이날 경향신문은 2011년 6월 15일 국정원 작성 'MBC 대상 종북성향 MC·연예인 퇴출조치 협조 결과' 문건을 공개했다.
보도에 따르면 같은 해 6월 12일 김흥국이 MBC 라디오 '두시 만세'를 하차하고 이틀 뒤인 6월 14일 국정원 2국이 당시 김재철 MBC 사장의 측근인 보도부문 간부 A 씨에게 김흥국 퇴출에 대한 우려를 전했다.
하지만 A 씨는 "MBC 경영진이 이번에 '보수성향'인 김흥국의 퇴출을 너무 쉽게 생각했고, 전격적으로 쫓아낸 것은 매끄럽지 못했음을 인정한다"며 "이번 김흥국 퇴진은 MBC 내 종북성향 진행자와 연예인에 대한 퇴출 작업의 '종착점'이 아니라 '이제 시작'이라는 점을 알아주길 바란다"고 국정원에 전했다.
또 A 씨는 "보수 연예인은 김흥국 1명이지만, 축출 대상 종북 방송인은 여러 명"이라며 "결국 김흥국의 희생은 여권에 '1 대 4~5'의 값어치가 있는 것으로 판단했다"고 말했다. 이를 국정원 관계자는 문건에 적어 보고했다.
'보수성향'인 김흥국 MBC 퇴출은 정부 비판 성향 방송인을 프로그램에서 퇴출시키기 위해 이용된 것으로 보인다는 게 매체의 설명이다.
국정원 문건에 따르면 A 씨는 "앞으로 국정에 부담을 주지 않고 가장 지능적이고 신속한 방법으로 일을 처리해 가겠다. 일단 믿고 맡겨주기 바란다"라고 말했다.
실제로 김흥국 하차 이후로 방송인 김미화, 가수 윤도현 등 진보성향으로 분류되는 연예인, 방송인들이 MBC 라디오, TV 방송 프로그램을 떠났다.
한편 지난달 28일 이명박 정부 시절 문화계 블랙리스트에 이름이 올라 피해를 입은 문화예술인 문성근, 김미화 등은 이명박 전 대통령과 원세훈 전 국정원장 등을 상대로 손해배상을 청구하기로 결정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