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안함 피격 사건’ 당일 천안함 내부에 설치돼있던 CCTV 복원 영상이 방송 최초로 공개됐다. 이에 대해 전문가는 “원본이 아니라 모니터를 찍은 것 같다”고 의구심을 제기했다.
28일 KBS2 ‘추적60분’에선 ‘8년 만의 공개, 천안함 보고서의 진실편’이 방송됐다. 이날 방송에선 사건 당일 천안함 내부에 설치돼있던 CCTV 복원 영상이 방송 최초로 공개됐다.
해당 영상은 천안함 함미의 후타실에서 지난 2010년 3월 26일 21시 02분 20초부터 21시 17분 01초까지 14분 41초간의 장면을 보여준다. 이 영상은 지난 2012년 9월 24일 서울중앙지법 형사36부(재판장 박순관 부장판사) 주재로 열린 신상철 서프라이즈 대표의 천안함 관련 명예훼손 사건 공판에서 국방부가 법정에 제출한 증거다.
제작진은 영상을 분석하던 중 이상한 점을 발견했다. 분명 사건 당일에는 파고 2.5m로 구조가 힘들었던 상황이었다. 당시 김남오 인천해경 501함 갑판장은 “파고가 3m정도 돼서 접근하기가 상당히 어려웠다. 그래서 거기 있는 승조원들이랑 합동으로 해서 순차적으로 구조했다”라고 브리핑한 바 있다.
그러나 CCTV 복원 영상을 보면, 후타실 내 운동기구를 드는 승조원들은 흐트러짐이 없는 모습을 보였으며, 주위 물건도 미동이 없는 상태였다. 컵에 있는 물이 쏟아질 정도의 파고였으나, 영상 속 물건들은 모두 제자리에 있었다.
황민구 법영상분석연구소장은 해당 영상에 대해 “지금 보니까 왜 이렇게 찍었나. 원본이 아니라 모니터를 찍은 것 같다. 주사선이 있다. (영상 속) 격자 모양은 모니터 찍으며 나오는 거다. 줄 간격들을 보게 되면 일치하지도 않다”라고 주장했다.
국방부 합조단의 천안함 최종보고서에도 당시 사건 발생 시 해상상태는 남서풍 20노트에 파고는 2.5m였다. 일각에서는 이 상태에서 천안함 내 승조원들이 안정적으로 운동을 할 수 있었는지에 대해 의문이 제기하고 있다.
‘추적60분’ 제작진은 사건 당일 TOD(열상감시장비)로 관측한 천안함 구조영상도 공개했다. 해당 TOD 영상을 보면, 고속정 3대 중 1대만 천안함 쪽으로 간다. 이에 대해 해병대 TOD병 전역자는 “천안함이 가장 중요한 구조대상일 텐데 어딘가로 간다. 그런데 고속정 한 대만 남고 다른 쪽으로 두 대가 갔으면 문제가 있어 보인다”고 말했다.
한편 천안함 피격 사건은 2010년 3월 26일 9시 22분, 인천 서해 백령도 부근에서 발생했다. 특히 지난달 천안함 폭침의 배후로 알려진 북한 김영철 노동당 부위원장이 평창 동계올림픽 폐막식에 참석하면서 사건이 재조명 받았다.
김은향 동아닷컴 기자 eunhyang@donga.com
좋아요
1개
슬퍼요
1개
화나요
0개
댓글 2
추천 많은 댓글
2018-03-29 09:11:56
드디어 천안함의 진실이 밝혀질날이 다가오는구나 ~ 천안함 생존자 이비겁한 세끼들아 니들이 국가로부터 뭔협박과 보상을 받앗는지 모르지만 국민들이 반듣이 진실을 밝혀내서 선장을 비롯해서 헤군지휘부놈들 까지 싸그리 처벌할것이다
댓글 2
추천 많은 댓글
2018-03-29 09:11:56
드디어 천안함의 진실이 밝혀질날이 다가오는구나 ~ 천안함 생존자 이비겁한 세끼들아 니들이 국가로부터 뭔협박과 보상을 받앗는지 모르지만 국민들이 반듣이 진실을 밝혀내서 선장을 비롯해서 헤군지휘부놈들 까지 싸그리 처벌할것이다
2018-03-29 12:05:55
명박아. . 이제는 진실을 말해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