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등학교 화학 시간에 선생님이 ‘그럼 이건 왜 그럴까?’ 하고 물으시곤 했는데 나는 답을 알 것 같았어요. 그럼 그때부터 가슴이 막 두근두근했죠.”
올해 삼성호암상 과학상 화학·생명과학 부문 수상자인 최경신 미국 위스콘신대 교수(54·사진)를 31일 서울 중구 신라호텔에서 만났다. 그는 “고등학교 시절 권영자 화학 선생님 덕분에 나는 과학자가 됐다”며 “늘 수업에서 배우는 것보다 한 단계 더 생각해야 할 질문을 던지셨는데 그 순간이 가장 재미있었다”고 말했다.
최 교수는 전기화학 분야의 세계적인 석학이다. 대표적인 성과는 태양광을 흡수해 에너지를 내는 광전극 물질이다. 그는 “태양광은 공짜니까, 효율이 높고 안정적인 광전극 물질을 만들어내면 여기에서 나오는 에너지를 무궁무진하게 활용할 수 있다”고 했다. 최 교수는 또 추수하고 남은 옥수숫대나 나무껍질 등 폐자원을 분해해 화석원료를 대체하는 등 친환경 연구 분야에서 주목받고 있다.
과학자가 된 지 30년이 넘었지만 최 교수는 “지금도 과학이 너무너무 재미있다”고 했다. 그는 “자기 전에 아침에 안 되던 걸 골똘히 생각하다가 ‘아, 이렇게 하면 될까?’ 하는 깨달음이 들면 너무 신나서 잠이 안 온다. 그래서 자기 전에 실험 생각을 하지 않으려고 노력해야 한다”며 웃었다.
최근 한국 이공계 학생들의 ‘의대 쏠림 현상’에 대해 안타까운 마음도 내비쳤다. 최 교수는 “팬데믹 백신 위기만 봐도 과학기술의 양성은 국가의 자립성에 엄청난 영향을 끼치는 문제다. 국가의 미래를 걸고 과학자 양성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과학자의 길을 택한 학생들이 의사보다 더 좋은 직업 안정성과 처우를 받는다면 그쪽으로 가지 말라고 해도 갈 것”이라며 “미국의 화학과 박사 과정은 학비는 물론 월급과 의료보험료까지 대줘 한 푼도 없이 학위를 딸 수 있다”고 말했다.
이루고 싶은 꿈을 묻자 최 교수는 “학생들에게 항상 하는 말이 있다. ‘모든 연구는 너무 재밌지만 우리의 삶은 영원하지 않다.’ 주어진 시간이 많지 않으니 좀 더 고민해서 인류에게 어떻게든 도움이 될 수 있는 연구를 하자는 것”이라고 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