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Z세대 정신건강이 위험하다…42.1% “극단적 선택 생각한 적 있다”

  • 뉴스1
  • 입력 2023년 9월 6일 09시 10분


우울증의 늪에 빠진 대한민국 청년들이 날로 증가하고 있다. 이들은 조기 건강검진도 받지 않아 자신이 우울증을 앓고 있는지도 모른 채 살아가고, 이는 극단적 선택으로까지 이어져 사회적인 문제로 이어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우울증은 무엇보다 조기 발견과 치료가 중요한데, 특히 청년층의 경우 병원 방문에 초점을 맞추기보다는 그들의 감수성에 맞는 사회적 대책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6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2017년에서 2021년 사이 우울증 환자는 68만 명에서 91만 명으로 34% 증가했다. 그중 2030 환자 수는 15만 9000명에서 31만 명으로 두 배 가까이 폭증했다.

서울시내 한 대학교에서 학생들이 이동하고 있는 모습.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지난 2월 비경제활동인구 중에 구직 활동이나 취업 준비를 하지 않고 활동 상태를 ‘쉬었음’이라고 답한 15~29세 청년층은 49만7000명으로 나타나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2023.3.20/뉴스1 ⓒ News1
서울시내 한 대학교에서 학생들이 이동하고 있는 모습.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지난 2월 비경제활동인구 중에 구직 활동이나 취업 준비를 하지 않고 활동 상태를 ‘쉬었음’이라고 답한 15~29세 청년층은 49만7000명으로 나타나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2023.3.20/뉴스1 ⓒ News1
이들이 앓고 있는 우울증은 해서는 안 될 생각까지 갖게 한다. 지난 4월 보건사회연구 학술지에 실린 ‘같지만 다른 그들, 청년: 성별 자살생각과 자살시도 영향요인의 탐색 연구’ 논문에 따르면 만 20~39세 청년 1012명을 조사한 결과 42.1%가 지난 1년간 극단적 선택을 생각한 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각은 실행으로까지 이어진다.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전국 80개 병원 응급실에 내원한 자살시도자 2만6538명을 분석한 결과, 20대가 27.9%(7400)명, 30대가 13.6%(3607명)를 차지했다. 즉, 극단적 선택으로 응급실에 내원한 10명 중 4명이 2030이라는 의미다.

해당 논문에 참여한 김현수 명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특히 2030의 우울증 환자가 급속도로 증가하는 데는 ‘경제적인 문제’가 제일 크다고 지적했다. 김 교수는 “2030의 우울증은 취업 문제가 가장 큰 원인으로 작용한다”며 “취업이 안 되는 것은 물론, 좋은 회사와 좋지 않은 회사의 격차가 더 벌어지고 이에 따른 사회적 격차가 커지면서 상대적 박탈감으로 이어지게 되는데, 이는 청년들의 우울증에 가장 큰 작용을 한다”고 말했다.

실제로 지난해 보건복지부가 발간한 ‘2022 자살백서’에 따르면 ‘상대적인 박탈감’이 청년층을 극단적인 선택으로 이끄는 주된 경로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연구팀은 ‘미래 전망’과 ‘사회적 고립감’이라는 두 가지 요인을 매개로 상대적 박탈감이 극단적 선택 위험성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했는데, 통계적으로 유의미하다는 결과를 얻었다.

즉 상대적 박탈감이 클수록 자신의 미래에 대한 전망을 부정적으로 보게 하고, 이는 다시 사회적 고립감을 높이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쳐 극단적 선택 위험성이 커진다는 가설이 설득력이 있는 것으로 입증된 것이다.

김 교수는 청년층은 복지의 사각지대에 내몰려 있다면서 “청년은 기초생활수급자도 될 수 없고 코로나19 팬데믹 이후에 단기 알바 자리도 줄어드는 등 경제·사회적으로 취약해져 이런 문제들이 발생하고 있는 것”이라면서 “특히 20대 여성의 극단적 선택이 압도적으로 많은 것도 이와 같은 문제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21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2023 글로벌 탤런트 페어(GLOBAL TALENT FAIR)’를 찾은 구직자들이 입장을 기다리고 있다. 2023.8.21/뉴스1 ⓒ News1
21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2023 글로벌 탤런트 페어(GLOBAL TALENT FAIR)’를 찾은 구직자들이 입장을 기다리고 있다. 2023.8.21/뉴스1 ⓒ News1
실제로 복지부에 따르면 지난해 극단적 선택 시도자 중 여성은 65.2%(1만7294명)로 남성 34.8%(9244명)보다 약 2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20대가 27.9%(7400명), 10대 16.5%(4368명), 30대 13.6%(3607명) 순으로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문제는 지금도 우울증의 늪에 빠져 허우적대는 청년이 점점 늘어나고 있음에도 이들의 조기진단과 치료는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는 데 있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최혜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국민건강보험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정신건강검진 수검 현황’에 따르면 우울증 조기 발견에 도움이 되는 정신건강검진을 받는 청년층이 절반도 안 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20대 국가 정신건감검진 수검률은 2021년 23%에 그쳤다. 30대 역시 같은 해 49.5%를 기록했다.

최혜영 의원은 “현재 정신건강검진은 대상의 절반만 검사를 받고 있고, 심지어 20~30대 청년층은 검사를 더 안 받고 있어 대책이 시급하다”며 “청년층이라도 즉시 검진주기를 단축해 위험군을 조기발견하고 적절한 상담, 치료를 연계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2030세대 특성상 무작정 병원 진료와 치료를 권장하는 것으로는 근본적인 해결이 되지 않는다고 말한다.

김현수 교수는 “정신과에 갔다는 낙인현상도 있고 MZ세대의 감성에도 잘 맞지 않는 부분이 있어 청년층에게 정신건강 상담을 늘리는 정책만으로는 문제 해결에 큰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라며 “실제로 스웨덴은 오히려 중고등학교 때 정신건강교육을 강화해 청년 시기에 우울증에 더 잘 대처할 수 있도록 한 정책이 효과를 얻었다”고 말했다.

김 교수에 따르면 청년층이 되기 전, 청소년 시기에 정신건강 교육을 시행함으로써 스스로 자신의 병을 진단하고 병원에 가야 할 상황 등을 배우는 것이 중요하다. 또 세대와 시대적 분위기에 맞는 대책 마련도 필요하다.

김 교수는 “일본도 오픈 채팅을 통해 극단적 선택 예방에 크게 성공했다는 보도들이 있는데, MZ세대에 맞는 접근 루트를 찾아 도움을 주는 것이 국제적인 움직임”이라며 “청년들이 자주 모이고 접근 가능한 플랫폼을 만들고, 그런 청년들을 도와줄 수 있는 또래 청년 서포터들을 많이 만드는 등 이 세대의 감수성에 맞는 접근을 하는 대책이 나와야 한다”고 조언했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