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권리보장원 제2차 아동정책포럼
“아동 정신건강을 세심하게 돌봐야”
“극빈주거빈곤아동은 즉각 지원해야”
“아동 정신건강 지원사업이 학교를 중심으로 이뤄지니 학교 밖, 가정 밖의 소외 청소년들은 공공서비스도 받지 못하고 있어요.”
“햇빛이 안 들어오는 집이라 불을 끄면 아침인지 밤인지 구별이 안 돼요.”
아동권리보장원(정익중 원장)이 1일 서울 중구 페럼타워에서 2023년 제2차 아동정책포럼 ‘아동정책시행계획 및 아동정책영향평가’를 열었다. 아동 정신건강과 공공임대주택 거주 아동의 주거환경 문제를 집중 논의했다.
이번 포럼은 아동정책영향평가 전문평가 연구결과를 공유하고 아동정책 시행 계획 및 아동정책영향평가 우수 사례 발표를 통해 아동중심 정책 개발과 발전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열렸다. 아동권리보장원은 아동복지법에 따라 출범한 보건복지부 산하 기관으로 아동복지 정책과 서비스를 종합적으로 개발, 지원한다.
●“아동기 정신건강은 성인기 정신건강과 직결”
첫 번째 발표자로 나선 전진아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사회정신건강연구센터장은 ‘정신건강 위기아동 지원정책 전문영향평가’ 결과를 발표했다. 전 센터장은 “코로나19 이후 아동 정신건강 문제의 위험성이 지속적으로 커지는데도 정신건강 정책에서 아동에게 초점을 둔 논의는 여전히 제한적이라 이번 평가를 진행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아동 정신건강과 관련한 여러 부처의 지원이 있지만 지원들이 통합, 조정되지 않아 중첩되기도 하고 사각지대도 발생하고 있다”며 “예산 문제로 공공기관의 상담 및 심리치료 서비스는 아동 한 명이 받을 수 있는 기간이 정해져 있다”고 지적했다. 정신건강 서비스의 지역 간 격차가 크고, 종합심리검사의 경우 30만 원 정도의 적잖은 자기 부담이 발생하는 점도 한계점으로 꼽혔다.
보장원은 이런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찾아가는 정신건강 상담 서비스 확대 △모바일 등 다양한 매체를 활용한 정신건강 상담기회 제공 △학교 기반 상담서비스 ‘위클래스’ 확대 등을 개선 권고사항으로 제시했다.
지정토론에 나선 박소연 경기대 사회복지학과 교수는 “민간 상담센터에서 제공되는 인력의 전문성에 대한 낮은 신뢰와 공공기관을 통한 정신건강 상담의 효과성에 의문이 제기되는 현 상황에서는 전문인력의 전문성 강화가 시급하다”며 “아동의 욕구를 어떻게 반영할지 보다 세심한 고민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공공임대주택 거주 아동이 놀림받는 현실”
임세희 서울사이버대 사회복지학과 교수는 ‘아동 주거지원 정책 전문 영향평가’ 결과를 발표했다. 공공임대 주택 거주 아동이 ‘영구’라고 불리는 등 또래의 놀림을 받는 가운데 주거 과밀이 아동의 신체·정신건강을 저해한다고 주장했다.
임 교수는 “아동 가구의 주거 문제가 적극적으로 다뤄지지 않는 게 가장 큰 문제”라면서 “제한된 주거복지자원 배분 과정이 대개 정치적 결정을 통해 이뤄지다 보니 정치적 약자인 아동이 소외되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는 단기 개선방안으로 2024년 주거종합계획과 제3차 아동정책종합계획에 지하(반지하), 비주택에 거주하는 아동가구 등 총 3만7000개 아동 가구에 대한 즉각적 주거 지원 계획이 포함돼야 한다고 제안했다. 장기적으로는 △주거기본법 주거 약자에 ‘아동 청소년’을 포함시켜 이들이 최저 주거기준 미달일 경우 즉각 지원할 것 △아동복지법과 청소년복지지원법을 개정해 보호대상 아동 및 청소년에게 ‘가정환경과 유사한 주거 지원’을 명문화할 것 등이 필요하다고 했다.
정익중 아동권리보장원장은 “대한민국 모든 아동정책이 아동권리 관점에서 시행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지원하고 노력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