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전기및전자공학부 이성주 교수 연구팀이 사용자의 언어 사용 패턴을 개인정보 유출 없이 스마트폰에서 자동으로 분석해 사용자의 정신건강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AI 기술을 개발했다고 21일 밝혔다.
스마트폰을 소지하고 일상적으로 사용하기만 해도 우울증 등 정신건강 상태를 진단할 수 있다.
연구팀은 임상적으로 이뤄지는 정신질환 진단이 환자와의 상담을 통한 언어 사용 분석에서 이뤄지는 점에 착안해 연구를 진행했다.
사용자가 직접 작성한 문자메시지 등 키보드 입력 내용과 스마트폰 마이크에서 실시간으로 수집되는 사용자의 음성 데이터를 기반으로 정신건강 진단을 수행한다.
언어 데이터는 사용자의 민감한 정보를 담고 있을 수 있어 기존에는 활용이 어려웠다.
이에 연구팀은 연합학습 인공지능 기술을 적용, 기기 외부로의 데이터 유출 없이 AI 모델을 학습해 사생활 침해 우려가 없도록 개선했다.
연구팀은 스마트폰 위 대량으로 주어지는 사용자 언어 데이터로부터 효과적인 정신건강 진단을 수행하는 방법론도 개발했다.
예를 들면 업무 시간보다는 저녁 시간에 가족 또는 친구들과 나누는 대화에 정신건강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단서가 많다고 AI 모델이 판단해 중점을 두고 분석하는 방식이다.
이성주 교수는 “이번 연구는 모바일 센싱, 자연어 처리, 인공지능, 심리학 전문가들의 협력으로 이뤄져 의미가 깊다”며 “정신질환으로 어려워하는 사람들이 많은데 개인정보 유출이나 사생활 침범의 걱정 없이 스마트폰 사용만으로 정신건강 상태를 조기진단 할 수 있는 이 기술이 서비스화돼 사회에 도움이 되면 좋겠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성과는 KAIST 지난 6~10일 싱가포르에서 열린 ‘자연어처리 국제학회’(EMNLP)서 발표됐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