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명절 과식했다간 ‘수면장애’…‘칼로리 폭탄’ 어떻게 피할까

  • 뉴스1
  • 입력 2024년 2월 10일 07시 04분


ⓒ News1 DB
ⓒ News1 DB
설 명절은 오랜만에 가족과 친지를 만나는 기쁨 못지않게 먹는 즐거움 또한 크다. 하지만 평소보다 기름진 음식과 폭식을 할 가능성이 높아, 평소 건강한 사람도 소화불량에 걸리기 십상이다.

온종일 다과가 이어지고, 돌아서면 끼니때가 찾아온다. 고지방 음식, 매운 음식, 기름에 튀기거나 구운 음식, 유제품, 케이크, 밀가루 음식은 대표적인 소화불량 유발 음식이며 전이나 잡채 등은 소화하려면 오랜 시간이 필요하다.

10일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떡국은 한 대접(700g)이 588㎉(칼로리)에 이른다. 쌀밥 한 공기 열량 300㎉의 두 배에 가깝다. 조기구이 2마리(180g)는 318㎉, 떡갈비 5개(200g) 403㎉, 쇠고기 완자전 4개(200g) 323㎉에 달한다. 식혜 한 잔(200㎖)도 250㎉에 이른다.

떡국에 각종 육류와 전 그리고 식혜까지 먹으면 한 끼의 총 섭취 열량이 1520㎉에 달한다. 성인의 하루 섭취 권장량이 남자 2500㎉, 여자 2000㎉인 것을 생각하면 상당한 양이다. 의료진은 “우선 저칼로리 조리법으로 음식을 준비하자”고 당부한다.

최현호 가톨릭대학교 의정부성모병원 소화기내과 교수는 “전, 부침을 할 때 식용유는 되도록 트랜스지방산이 없는 식물성 식용유를 사용하고, 고기는 볶는 것 대신 삶아서 먹는 게 좋다. 튀김옷은 가능한 한 얇게 입히고 튀긴 후에는 그릇에 냅킨을 깔아 기름을 흡수하게 하자”고 말했다.

육류는 기름이나 껍질을 제거해 조리하고, 되도록 사태와 안심 같은 살코기를 사용하면 칼로리를 줄일 수 있다. 오일 스프레이를 사용하면 기름 사용량을 줄일 수 있고, 에어프라이어 등을 이용해 조리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

평소보다 식사량이 늘면서 과식, 폭식의 위험이 크다. 소화운동 기능이 저하될 수 있으며 위산 분비와 소화효소 분비 변화도 생긴다. 이로 인해 복부 팽만감, 소화가 안 되는 더부룩함, 체한 느낌이 나타난다.

야식도 생리적인 위 배출 기능을 낮춰 소화불량으로 이어진다. 특히 수면장애에도 영향을 미친다. 야식을 먹으면 잠을 유도하는 호르몬인 멜라토닌 분비가 감소하고 식욕을 낮추는 렙틴이 억제되는데, 이는 숙면을 방해하고 소화 기능에도 악영향을 줄 수 있다.

최 교수는 “전, 부침, 잡채 등 기름에 튀긴 음식은 물론 장시간 운전할 때 졸음을 방지하려고 섭취하는 카페인 음료, 탄산음료, 과자류도 주의해야 한다”면서 “소화불량 증상 예방을 위해서는 기름진 음식, 간식 섭취량을 줄이고 운전할 때 스트레칭, 휴식, 껌 씹기가 권고된다”고 설명했다.

ⓒ News1 DB
ⓒ News1 DB
평소 소화불량증을 수개월 이상 느꼈다면 기능성 위장장애일 가능성도 있다. 이 경우 명절 음식 섭취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기능성 위장장애는 주로 상복부를 중심으로 나타나는 기능성 소화불량과 하부 위장관 증상을 호소하는 과민성장증후군이 대표적이다.

최 교수는 “기능성 소화불량은 전 국민의 46%가 겪을 만큼 흔하다. 만약 명절 연휴 동안 소화불량 증상이 유독 심해지거나 명절 이후에도 장기간 계속된다면 기능성 소화불량을 의심하고, 적절한 치료를 받아야 한다”고 덧붙였다.

연휴 동안 소화불량이 발생할 수 있는 만큼, 미리 개인 상비약을 준비해 복용하는 것도 좋으며, 설 연휴 진료하는 병원이나 약국을 미리 알아둬야 한다. 소화제는 크게 위장관 운동 촉진제와 위산 분비 억제제가 있다.

위장관 운동 촉진제는 식후 포만감 또는 조기 만복감 증상 개선에 효과적이고, 위산분비억제제는 상복부 통증, 속쓰림, 역류 증상에 효과가 있다. 소화불량이 명절 이후에도 장기간 계속된다면 간과해서는 안 되는 신호일 수 있어, 의료진의 정확한 진단 및 적절한 치료를 받아야 한다.

최 교수는 “소화불량은 매우 흔하지만, 명절에 심해지거나 체중감소, 피로감, 빈혈 등을 동반한다면 병원을 찾아야 한다. 특히 고령자 또는 만성 질환자는 기저질환 상태 등을 살피는 게 좋다. 만일 소화불량이 심해져 응급상황이 생긴다면 주저하지 말고 119에 연락해야 한다”고 전했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