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이 되기 전 발생하는 ‘조발성 치매’ 환자 수가 10년간 3.6배가 된 것으로 나타났다.
13일 질병관리청 국립보건연구원에 따르면 2009년 1만7772명이었던 조발성 치매 환자 수는 2019년 6만3231명으로 10년간 약 3.6배로 늘었다.
흔히 치매는 65세 이상 노인에게 많이 발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니 2021년 기준으로 국내 조발성 치매 환자는 전체 치매 환자의 8% 가량 된다. 40대 후반에서 60대 초반 사이에 발병해 ‘초로기 치매’로 불리는 조발성 알츠하이머병이 대표적이다.
조발성 치매는 65세 이상의 노인성 치매보다 증상 진행이 빠른 편이다. 또 기억력이 떨어지다 운동능력, 성격 장애가 순차적으로 나타나는 노인성 치매와 달리 기억력 감퇴, 언어장애, 운동장애 등 다양한 증상이 순서 없이 닥치는 게 특징이다.
상대적으로 이른 나이에 치매를 앓는 만큼 환자 본인이나 피부양자가 경력 단절로 인해 경제적 위기에 처할 가능성도 크다. 고영호 질병관리청 뇌질환연구과장은 “조발성 치매가 늘어나는 것에 대해 과학적으로 확인된 원인은 없다”며 “원인을 분석하기 위해 연구를 시작한 단계”라고 설명했다.
치매가 의심되면 조기에 발견해 치료하는 게 무엇보다 중요하다. 증상이 본격적으로 나타나기 전 치료를 시작하면 진행 속도를 늦출 수 있기 때문이다. 본인이나 가족 등의 치매가 의심되는 경우 전국 보건소에서 무료로 실시하는 간이 선별검사를 통해 위험도를 알아보고 병·의원 정신건강의학과에서 자기공명영상(MRI)이나 신경인지검사(SNSB) 등으로 정밀 진단을 받을 수 있다.
2021년부터 전국 31개 병원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조발성 치매환자 코호트(집단) 연구를 진행 중인 국립보건연구원은 3월 셋째 주 ‘세계뇌주간’을 맞아 조발성 치매의 원인 유전자를 규명한 연구결과도 발표했다. 연구진은 각각의 단어를 이해하지 못하고 단어와 사물을 연결하고 기억하는 데 어려움이 있는 환자로부터 기존에 밝혀지지 않은 병원성 변이를 발견했다. 또 서구인에게 주로 발견되는 유전자 변이들이 한국인 환자에게선 극히 드물다는 연구 결과도 발표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