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서재명 의과학대학원 교수와 임대식 생명과학과 교수 연구팀이 비만, 당뇨 등 대사성 질환의 새로운 치료 전략을 규명했다고 1일 밝혔다.
연구진은 체내 조직의 크기를 결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히포 신호전달체계’에 관여하는 ‘얍타즈(YAP/TAZ)’ 단백질에 주목했다. 이 단백질이 지방세포에 어떤 역할을 하는지 관찰한 결과 얍타즈 단백질이 활성화되면 지방 조직의 크기가 작아진다는 것을 확인했다.
실제 연구진이 얍타즈의 활성을 막는 유전자(라츠1·2)를 생쥐한테서 제거했더니 지방세포의 물리적인 크기가 작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얍타즈가 지속적으로 활성화되자 지방세포가 지방세포가 되기 전 줄기세포와 같은 상태(전구체)로 변한 것이다. 그 결과 비만 상태였던 생쥐가 정상체중으로 돌아왔다.
연구진은 추가로 얍타즈가 ‘포만 호르몬’이라고 불리는 렙틴을 생성하는 데 직접적으로 관여한다는 사실을 밝혔다. 렙틴이 식욕을 억제하고 에너지 소비를 늘리는 핵심 호르몬이라는 사실은 이전에 밝혀졌지만 분자 수준에서 어떻게 생성되는지를 밝힌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즉, 얍타즈를 활성화하면 렙틴의 양이 늘고 식욕 억제 등의 효과도 얻을 수 있다.
이번 연구는 지방세포에서 얍타즈 단백질을 활성화하면 비만이나 당뇨와 같은 대사성 질환을 치료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이번 연구는 국제 학술지 ‘네이처 대사’ 5월 29일자에 게재됐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