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이한 자기장 특성 달 뒷면 충돌구
개량 혼천의 개발 조선 과학자 명명
경희대팀 신청, 국제천문연맹 선정
“다누리로 추가 관측 연구 이어갈것”
달 표면의 충돌구(크레이터)에 처음으로 한국인 이름이 붙여지게 됐다.
19일 경희대 우주탐사학과 다누리 자기장 탑재체 연구팀은 특이한 자기장 특성을 보이는 달 뒷면의 한 크레이터에 조선시대 천문학자이자 수학자인 남병철 선생의 이름이 붙었다고 밝혔다. 현재 달 크레이터의 이름은 국제천문연맹이 각 나라 연구팀들의 신청을 받아 선정한다. 이번에 경희대 연구팀의 신청으로 최종 심사를 거쳐 14일 ‘남병철 크레이터’가 탄생한 것이다.
경희대 연구팀은 한국의 첫 달 궤도선인 다누리로 달 표면의 자기장을 연구하고 있다. 남병철 크레이터는 달 표면의 자기장 변화 연구를 진행하던 여러 크레이터 중 하나였다. 연구진은 이 크레이터에 아직 이름이 없다는 것을 알고 공동 연구 중이던 이언 개릭베설 미국 샌타크루즈 캘리포니아대 교수와 상의해 이 크레이터의 이름을 신청하게 됐다.
달 표면의 크레이터에 이름을 붙이기 위해서는 크레이터의 과학적 의미, 명명되는 이름이 과학자임을 증명할 수 있는 자료가 필요하다. 남병철 크레이터는 크레이터의 안과 밖의 자기장이 다른 것이 특징이다.
이름이 명명되기 전인 2021년 이 크레이터에 대한 연구 내용이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게재되기도 했다. 당시 논문을 발표한 미국 매사추세츠공대 연구진은 지름 100km의 철이 풍부한 운석이 달 표면에 사선으로 날아와 충돌했다고 추정했다. 운석 내 철 성분이 강한 자기장을 일으켰다는 분석이다.
남병철 선생(1817∼1863)은 조선 후기 예조판서와 대제학 등을 지낸 문신으로, 천문학자이자 수학자로 많은 업적을 남겼다. 그중 대표적인 업적이 ‘남병철 혼천의’다. 혼천의는 지구, 태양, 달의 움직임을 재현하고 위치를 측정하는 기기다. 남병철 혼천의는 쉽게 관측할 수 있도록 한 개량 혼천의다. 경희대 연구팀은 한국천문연구원 고천문연구센터의 추천과 협의를 거쳐 최종적으로 남병철 크레이터로 이름을 제안했다.
연구진은 “현재 달을 돌고 있는 궤도선 다누리가 임무 기간에 남병철 크레이터에 대한 추가 관측을 하면 새로운 연구를 이어갈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