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억6000만 년 세월 동안… 올챙이는 변치 않았네

  • 동아일보
  • 입력 2024년 11월 4일 03시 00분


16㎝ 최고령 올챙이 화석 발견
섭식 형태-생애 주기 현재와 동일

쥐라기 중기에 살았던 올챙이와 개구리 모습을 나타낸 상상도. 사진 출처 네이처
쥐라기 중기에 살았던 올챙이와 개구리 모습을 나타낸 상상도. 사진 출처 네이처
약 1억6100만 년 전 살았던 것으로 추정되는 올챙이의 화석이 발견됐다. 현재까지 보고된 올챙이 화석 중 가장 오래된 것이다. 올챙이 길이는 무려 16cm에 달했던 것으로 가늠된다. 오늘날과 동일한 섭식 시스템과 생애 주기를 가졌다는 점도 확인됐다.

마리아나 출리베르 아르헨티나 마이모니데스대 박사후연구원 연구팀은 올챙이 화석을 발견하고 초창기 개구리의 변태 과정을 살핀 연구 결과를 지난달 30일(현지 시간)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발표했다.

꼬리가 없는 양서류인 개구리는 수중에서만 생활하는 올챙이 단계에서 육지에서도 활동 가능한 성체인 개구리로 변화하는 2단계의 생애 주기를 갖는다. 성체가 된 개구리는 약 2억1700만∼2억1300만 년 전인 중생대 트라이아스기 후기의 화석까지 남아 있다. 이와 달리 올챙이의 경우 약 1억4500만 년 전인 백악기 이전 화석은 그동안 발견되지 않았다. 올챙이는 몸체와 뼈대가 연한 편이기 때문에 화석화되기 쉽지 않기 때문으로 알려져 있다.

연구팀은 잘 보존된 쥐라기 중기(약 1억6800만∼1억6100만 년 전)의 올챙이 화석을 발견했다. 아르헨티나 남부 고원인 파타고니아에서 발견된 이번 화석은 올챙이의 머리와 몸의 상당 부분, 꼬리 일부와 눈, 신경, 앞다리의 흔적까지 보존돼 있었다. 이는 올챙이가 성체로 변화하는 변태 후기 단계에서 화석화됐음을 의미한다.

오늘날 올챙이가 갖고 있는 여과섭식 시스템도 이 당시에 이미 갖추고 있었던 것으로 분석됐다. 여과섭식은 물에 용해되지 않고 섞여 있는 유기물 입자만 걸러 먹을 수 있는 섭식 형태를 의미한다.

올챙이 길이는 약 16cm로 추정될 정도로 오늘날 올챙이와는 다른 거대한 크기였다. 과거 같은 지역에서 거대한 몸집을 가진 성체인 개구리 화석들도 발견된 바 있다.

연구팀은 “이번 화석 발견을 통해 올챙이 몸체의 주요 특징은 양서류에 속하는 개구릿과, 두꺼빗과를 칭하는 무미류가 등장하기 시작한 초기부터 이미 대부분 형성돼 있었음을 확인했다”며 “1억6100만 년 전에도 올챙이와 개구리로의 2단계 생애 주기가 존재했다는 점을 발견했다”고 설명했다.

#올챙이 화석#초창기 개구리#네이처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