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과 놀자!/풀어쓰는 한자성어]敬而遠之(경이원지)(공경 경, 어조사 이, 멀 원, 어조사 지)

  • 동아일보
  • 입력 2024년 12월 9일 22시 48분


● 유래: 논어(論語)에 나오는 이야기입니다. 옹야(雍也) 편에서 번지(樊遲)가 지혜에 대하여 묻자 공자가 답하기를 “백성을 교화하고 인도하는 일에 힘쓰고 귀신을 공경하면서도 멀리한다면(敬鬼神而遠之) 지혜롭다”고 했습니다. 선진(先進)편에선 계로(季路)가 귀신 섬기는 일을 묻자 공자는 “살아 있는 사람을 잘 섬기지 못한다면 어떻게 귀신을 섬기겠는가”라고 답했고, 죽음(死)에 대한 질문에는 “삶을 모른다면 어떻게 죽음에 대해서 알겠는가”라고 말했습니다. 술이(述而)편에서 공자는 “괴이함(怪), 초인적인 힘(力), 반란(亂), 귀신(神)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라고 했으니 공자는 귀신의 존재를 명확히 부인하지 않으면서도 동시에 존재를 강조하지도 않았음을 알 수 있습니다.

● 생각거리: 한나라 때 유향(劉向)이 지은 설원(說苑)에도 공자의 입장이 잘 나타나 있습니다. 자공(子貢)이 공자에게 “죽은 사람에게도 지각이 있습니까”라고 물으니 공자는 “죽은 자에게 지각이 있다고 말한다면 효성에 지극한 자손들이 생업을 포기하면서까지 장사(葬事)에 정성을 다할까 염려되고, 지각이 없다고 말한다면 불효한 자손들이 죽은 이를 버리고 장사조차 지내지 않을까 염려된다. 그것을 알고 싶거든 기다리다 죽으면 저절로 알게 되리니 그래도 늦지 않을 것이다”라고 말했습니다. 공자의 말에서 유래한 경이원지는 훗날 겉으로는 공경하는 체하면서 속으로는 꺼리어 멀리한다는 의미로 정착됐습니다.

#한자성어#경이원지#논어#경원#경원시#공자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