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신혼부부 97만쌍 역대 최저
無자녀 48%, 자녀수 0.63명 그쳐
딩크족 29%… “일-가정 양립 어려워”
혼인신고를 한 지 5년이 안 된 신혼부부가 지난해 사상 처음으로 100만 쌍을 밑돌았다. 이 중 자녀가 없는 신혼부부의 비중이 절반에 달했고, 맞벌이를 하면서 자녀가 없는 ‘딩크족’의 비중 역시 역대 최대였다.
통계청이 10일 발표한 ‘2023년 신혼부부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신혼부부(11월 1일 기준 혼인신고를 한 지 5년이 경과되지 않은 부부)는 총 97만4000쌍으로 1년 전보다 5.6% 감소했다. 신혼부부가 100만 쌍 밑으로 떨어진 것은 2015년 관련 통계 집계를 시작한 이후 처음이다. 2015년 147만2000쌍에 달했던 신혼부부는 매년 5만∼8만 쌍씩 줄고 있다.
초혼 신혼부부의 연간 평균 소득은 7265만 원으로 전년보다 7.0% 증가했다. 소득이 높은 맞벌이 부부가 늘어난 영향이 컸다. 초혼 신혼부부 중 맞벌이 부부의 비중은 58.2%로 전년보다 1.0%포인트 올랐다. 맞벌이 초혼 신혼부부의 평균 소득은 8972만 원, 외벌이 부부는 5369만 원이었다.
신혼부부의 소득이 증가한 것과 달리 자녀 수는 더 감소했다. 한국에서 부부가 함께 일하며 육아까지 챙기는 것이 여전히 쉽지 않다는 방증이다. 초혼 신혼부부 중 자녀가 없는 부부의 비중은 47.5%로 전년보다 1.1%포인트 상승했다. 평균 자녀 수는 0.63명으로 0.02명 줄었다. 특히 맞벌이 부부 중 자녀가 없는 신혼부부는 22만5345쌍으로 초혼 신혼부부 전체(76만9067쌍)의 29.3%에 달했다. 딩크족 비중이 역대 최대였던 2022년(28.7%)보다 0.6%포인트 증가했다. 2015년 전체의 18.0%에 그쳤던 딩크족 비중은 2018년(21.7%)과 2020년(25.8%) 급증했고, 2021년(27.7%)에는 처음으로 외벌이·유자녀 비중(24.3%)을 넘어섰다.
맞벌이 부부의 출산을 돕기 위해 ‘일·가정 양립’ 정책을 지속적으로 발굴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최근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가 진행한 ‘국민WE원회(저출생 대책을 수요자 입장에서 평가받기 위해 출범시킨 자문단) 저출생 대책 평가 및 인식 조사 결과’에 따르면 자문단은 ‘앞으로 더 강화해야 하는 저출생 대책’으로 ‘일·가정 양립’(28.5%)을 가장 많이 꼽았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