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고위 소식통은 12일 동아일보와의 통화에서 이같이 말했다. 비상계엄 사태에 따른 탄핵 정국으로 윤석열 대통령의 거취가 불투명해진 가운데 우리 정부가 대미 외교 우선순위에 뒀던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 당선인과의 이른 정상회담 추진이 사실상 물 건너갔다는 것. 방위비 분담금 재협상 요구는 물론이고 트럼프 당선인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북핵 직거래 가능성까지 제기되고 있지만 정상외교 불능 상태로 인해 외교가에선 2016년 탄핵 정국으로 인한 ‘코리아 패싱’이 재연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는 상황이다.
이 소식통은 “(트럼프 측은) 만약 새 대통령이 들어올 상황이라면 굳이 (정상회담을) 안 할 것”이라며 “지금 정부 상황이 미국에 영속성 있는 정책을 설명할 수 있는 입장도 아니다”고 전했다. 앞서 정부는 지난달 미 대선 이후 발 빠른 만남으로 임기 내내 밀월 관계를 형성한 아베 신조(安倍晋三) 전 일본 총리 사례를 모델로 삼아 트럼프 당선인과의 회동에 공을 들였지만 무산됐다. 통상 미국에서 새 행정부가 들어서면 2, 3개월 내로 한미 정상회담이 개최돼 왔다. 트럼프 당선인 측은 출범 전까지 윤 대통령 거취를 비롯해 정치 상황 변화를 지켜보겠다는 신중한 입장인 것으로 알려졌다.
당장 다음 달 취임하는 트럼프 당선인이 2016년 12월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으로 대통령 권한대행 체제였던 한국에 고위급을 연쇄적으로 보내 대북 경고 메시지를 냈던 1기 때처럼 집권 초기 한반도 정세 및 동맹 관리에 나설 가능성도 제기된다. 북핵 위협이 점증하던 2017년 1월 집권한 트럼프 당시 대통령은 그해 2, 3, 4월 각각 제임스 매티스 국방장관, 렉스 틸러슨 국무장관, 마이크 펜스 부통령을 한국에 보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