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나다 총리 후보 “트럼프 관세 위협? 美 아픈 곳 때릴 것”

  • 뉴시스(신문)
  • 입력 2025년 1월 28일 19시 47분


프릴랜드 “현명하게 행동할 것…반격 땐 미국에 일대일 대응”
플로리다 오렌지, 위스콘신 유제품, 미시간 식기세척기 거론

AP 뉴시스
AP 뉴시스
크리스티나 프릴랜드 전 캐나다 부총리 겸 재무장관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고율 관세 위협에 취약 지점을 타격해 적극적으로 대응하겠다고 말했다. 프릴랜드 전 부총리는 사퇴를 앞둔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 뒤를 이을 총리직 후보로 도전한 상태다.

AP에 따르면 프릴랜드 전 부총리는 27일(현지 시간) 성명을 내어 트럼프 대통령이 캐나다 상품에 관세 25%를 부과하겠다고 위협하면 보복 목록을 공개해야 한다며 “현명하게 행동한다는 것은 아픈 곳에 보복하는 것을 의미한다”고 자신감을 드러냈다.

그는 “우리의 반격은 일대일 대응이어야 한다. 그리고 정확하고 고통스럽게 표적을 잡아야 한다. 플로리다주 오렌지 재배자, 위스콘신주 낙농업자, 미시간주 식기세척기 제조업체 등 정확하고 고통스러운 표적이 돼야 한다”라며 “이제 캐나다는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조치가 수반할 구체적인 비용을 미국인에게 명확히 밝혀야 할 순간”이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2000억 캐나다달러(약 201조1320억원) 규모의 제품 목록이 미국 수출업체에 관세로 인한 피해를 전달할 것이라며 자신이 총리가 된다면 미국 기업이 방위 분야를 제외한 캐나다 정부 조달 입찰에 참여하지 못하도록 막겠다고 예고했다.

동시에 멕시코, 덴마크, 파나마, 유럽연합(EU) 수반과 함께 정상회의를 통해 주권과 경제를 향한 도전에 공동 대응하겠다고 공언했다.

일부 캐나다 의원은 미국으로 에너지 수송을 중단할 가능성을 타진했다. 마크 카니 전 캐나다중앙은행 총재는 퀘벡주의 수력 수출을 중단하는 것도 한 가지 선택지로 언급했다.

다만 구체적 조치를 포함한 캐나다 정치권의 구체적 대처법 거론이 트럼프 대통령을 자극해 더 강한 반응을 유발할 수 있다는 경계론도 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많은 캐나다인이 미국의 51번째 주가 되고 싶어 한다며 미국은 더 이상 캐나다와 무역적자와 보조금으로 고통받지 않을 것이라고 예고했다.

그는 지난해 11월 미국 대통령 선거 뒤로 캐나다 정부가 미국으로의 불법 이민과 마약 유입을 막기 위해 충분한 노력을 기울이지 않는다며 상황이 개선되지 않으면 모든 캐나다산 수입품에 25%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위협했던 바 있다.

트뤼도 총리는 곧장 트럼프 대통령을 찾아갔고 국경 강화에 나섰다. 측근이었던 프릴랜드 전 부총리는 트럼프 행정부 대응과 관련해 이견으로 사임했다.

미국 50개 주 가운데 36군데에서 최대 수출 시장은 캐나다다. 매일 36억 캐나다 달러(약 3조6204억원) 상당의 상품과 서비스가 국경을 넘고 있다.

트뤼도 총리는 오는 3월 9일 집권당인 자유당의 새 당대표가 선출될 때까지 총리로 남을 예정이다.

차기 총리는 캐나다 역사상 최단명 총리가 될 가능성이 크다. 야당은 오는 3월 24일 불신임 투표를 통해 자유당 정부를 무너뜨리겠다고 공언한 상태다.

[서울=뉴시스]
  • 좋아요
    1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1

추천 많은 댓글

  • 2025-01-29 00:15:00

    저 얼굴만 보면 한숨만 나온다. 몇 년에 걸쳐 그저 나랏돈 퍼 내버리는 짓만 반복하다가 이제 와서 수습이 안되니 아몰라 도망쳐놓고 이젠 자기 예전 상사 자리를 넘보고 있다니, 어쩌면 동서양을 막론하고 사고가 좌경화된 사람들은 저렇게도 수치심이 없나. 작년 예산안 발표하면서 돈의 쓰임새가 구체적이지도 못하고 그저 여기도 돈쓰고 저기도 돈쓰는 우리나라 좋은나라 하면서 마이크 잡고 한참을 실실 웃어대는데 정말 저사람이 기본적인 정치훈련을 받기나 했나 싶드라. 대한민국 여러분들 절대 지금 캐나다 이민 오지 마세요, 빠르게 거지 됩니다.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1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