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일 열린 울산시 인구정책위원회. 울산시는 이 자리에서 지역 인구 감소를 막기 위해 1조1031억 원을 투입하기로 했다. 울산시 제공
울산시가 인구 감소에 대응하기 위해 1조2000억 원 규모의 종합 대책을 내놨다. ‘떠나는 도시’에서 ‘머무르는 도시’로, 더 나아가 ‘찾아오는 도시’로 만든다는 계획이다.
울산시는 올해 인구 정책 시행계획을 확정해 추진한다고 11일 밝혔다. 울산은 2015년 119만9700명으로 정점 찍은 매년 인구가 감소하며 지금까지 7만 명 넘게 줄었다. 한때 120만 명까지 바라보던 울산에서 인구 감소가 일어나기 시작한 원인은 조선업 불황 때문이다. 장기 침체기를 겪으면서 근로자와 그들의 가족들이 울산을 떠난 것이다.
다행히 최근 조선업 호황으로 외국인 유입이 늘고, 내국인 유출은 줄면서 감소세가 둔화되고 있다. 울산의 출생아 수와 합계출산율도 9년 만에 반등했다. 지난해 출생아 수 잠정치는 5300명으로 전년 대비 200명 증가했고, 합계출산율 잠정치는 0.86명으로 특·광역시 중 1위를 기록했다.
울산시는 지역의 일자리 창출이 인구 유입, 결혼, 출산이라는 선순환을 일으켜 이 같은 결과를 낳은 것으로 보고 있다.
이에 따라 올해 인구 정책에 1조1955억 원을 투입한다. 정책의 핵심은 일자리다. 울산시는 2027년까지 조선업 등 지역 산업계가 필요로 하는 기술 인력이 1만4000여 명에 달할 것으로 보고 있다. 시는 이처럼 부족한 산업기술인력을 ‘울산형 광역비자제도’로 해결한다는 구상이다. 광역비자는 지방정부가 지역 여건과 산업 특성에 맞게 외국인력 유입을 위한 비자를 설계하면 정부가 최종 승인해 비자를 발급하는 제도다.
6일 열린 울산시 인구정책위원회. 울산시는 이 자리에서 지역 인구 감소를 막기 위해 1조1031억 원을 투입하기로 했다. 울산시 제공기업 현장 지원 특별 전담 조직(TF)도 확대한다. 기업 투자를 옥죄는 복잡한 규제와 행정 절차를 개선해 일자리 창출을 일으키겠다는 것이다. 분산에너지 특구 지정과 도심융합특구 조성, 울산국제정원박람회 개최 등의 신규 사업도 추진하기로 했다. 수소와 2차전지 등 미래산업을 육성하고, 적극적인 개발제한구역 해제와 역세권 개발 등을 통해 균형발전을 이룬다는 계획이다.
청년과 신혼부부가 정착할 수 있도록 출산과 돌봄 정책을 강화하는 지원책도 추진한다. 조부모가 손주를 돌보면 매달 30만 원의 지원금을 준다. 또 24시간 운영하는 시립아이돌봄센터를 확대하고, 평일 밤과 휴일에도 문을 여는 달빛어린이병원을 추가로 지정한다. 양육 부담을 줄이고, 아동에게 문화예술 향유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초등 연령대(2013∼2018년생) 모든 어린이(총 6만2000여 명)를 대상으로 아이문화패스카드(10만 원)가 지원된다.
주거 지원책으로 청년과 신혼부부의 정착도 돕는다. 공공임대주택과 함께 보증금과 대출이자 지원 폭도 늘려 내 집 마련의 부담을 낮출 예정이다.
김두겸 울산시장은 “실효성 높은 정책으로 울산을 일자리의 중심지로 구축해 전국에서 사람이 찾아드는 도시로 만들겠다”고 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