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의 건전소비운동에 대해 외국정부와 외국언론의 반응이 매우 비판적인 방향으로 흐르고 있다. 심각한 상태에 이른 무역역조를 해결하기 위해 한국정부가 건전소비운동을 빌미로 소비재 수입을 억제하려 한다는 주장이 바로 그것이다. 그러나 이는 우리의 참뜻을 곡해하고 건전소비운동이 추구하는목표를 잘못 이해한데서 비롯됐음을 지적하고자 한다.
우선 건전소비운동은 「합리적인 소비」를 지향하는 시민운동이라는 점이다. 지난 30여년간 우리 사회는 근검절약과 높은 저축률을 바탕으로 오늘과 같은 경제발전을 이룰 수 있었다. 그러나 어느 정도의 물질적 풍요를 누리게 되면서 저축률이 떨어진데다 충동적이며 모방성이 강한 사치성 소비풍조가 확대됐다. 이로 인해 우리 경제의 경쟁력마저 위협받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우리의 경제 현실을 바로보고 합리적인 소비생활을 통해 근검절약과 저축의 미덕을 되찾으려는 노력이 바로 건전소비운동으로 나타난 것이다.
다음으로 건전소비운동은 외국상품에 대한 불매운동이 아니라는 점이다. 합리적 소비란 필요에 의해서 제품의 가격과 품질 및 경제적 여건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구매하는 태도를 말한다. 따라서 국내외 상품을 막론하고 특정 브랜드를 맹목적으로 선호하고 과시하려는 것은 국가경제를 우려하기 이전에 개인의 경제활동에도 이득이 없으며 특히 정신적으로 미성숙한 청소년들에게 결코도움이되지않는다는 사실을알리려는것일 뿐이다.
끝으로 건전소비운동은 한국정부가 관변단체나 관제언론을 동원해 의도적으로 벌이는 구태의연한 수입억제책의 일환이 아니다. 이를 오해한다면 우리 사회의 성숙도를 제대로 인식하지 못한 지극히 주관적인 해석에 불과하다. 최근의 건전소비운동은 우리 스스로 문제점을 인식하고 이를 개선하려는 성숙한 시민의식에서 태동된 자발적인 시민운동이라는 점을 인정해야 한다.
미국을 비롯한 구미 선진사회에도 이미 「소비가 미덕」이라는 경제논리는 자취를 감춘지 오래다. 돌이켜 보면 우리 사회의 과소비 풍조를 놓고 『샴페인을 너무 일찍 터뜨렸다』고 질타하던 쪽도 바로 그들이었음을 우리는 잊지 않고 있다.
이제서야 우리의 과실을 인정하고 이를 바로잡으려 노력하고 있다. 이런 노력을 정부의 구태의연한 작태로 매도하려는 그들의 의도가 무엇이며 과연 그들이 우리에게 진정으로 바라는 것이 무엇인지를 곰곰 생각하지 않을 수 없다.
김영수(한국개발연구원 연구위원)